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05
한자 內藏寺 浮屠殿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253[내장동 588]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전경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32년연표보기 - 내장사 부도전 건립
현 소재지 내장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253[내장동 588]지도보기
성격 승탑
양식 석종형|팔각원당형|사각형
관련 인물 학명
재질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내장사에 있는 승탑을 모아놓은 곳.

[개설]

부도는 승려의 유골을 안치한 탑으로 승탑이라고도 한다. 내장사 부도전(內藏寺 浮屠殿)은 1932년 내장사 경내에 흩어져 있었던 비석과 부도탑을 한곳에 옮겨 놓으면서 시작되었다. 부종수교화엄종석전당영호대종사지비(扶宗樹敎華嚴宗石顚堂暎湖大宗師之碑) 외 8개의 비가 있으며, 학명당사리합 외 26개의 승탑이 있다. 부도전 서쪽에 무보당(無保堂), 한곡당(寒谷堂), 하월당(河月堂), 남월당(南月堂), 비구니대익(比丘尼大益), 매곡선사탑(梅谷禪師塔), 구봉당(九峰堂), 학명당사리합(鶴鳴堂舍利盒), 동쪽에 가산거사사리탑명(迦山居士舍利塔銘), 운곡선사정혜원명지비(雲谷禪師定慧圓明之碑), 매곡선사탑비(梅谷禪師塔碑), 비구니세만기념비(比丘尼世萬紀念碑), 비구니덕문행해기실비(比丘尼德文行解記實碑) 등이 있다.

[건립 경위]

1932년 승려 학명내장사 주지로 있을 때에 경내에 흩어져 있던 부도를 한곳에 옮겨 놓았다고 한다.

[위치]

내장사 부도전내장산국립공원 내부, 영은암 근처에 있다

[형태]

내장사 부도전의 승탑은 석종형과 팔각원당형, 그 외에 사각형도 조성되었다. 석종형 승탑의 경우 구슬 모양의 장식을 한 것도 있고, 간단하게 종을 엎어 놓은 듯한 형식도 있다. 또 팔각원당형은 탑신부를 둥근 형태로 만들고, 그 위에 지붕을 올려 놓았는데, 이러한 형식은 통일 신라 시대에 많이 조성되었다. 탑신부에 당호를 새겨 놓았다.

[현황]

팔각원당형 승탑이 9기, 석종형 승탑이 8기, 그 외에 사각 탑신부를 가진 형도 여러 기 있고, 6기의 탑비가 있다.

[의의와 평가]

각 당호에 따른 승려의 승탑 조성 시기를 밝힐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의 승탑 양식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