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서 사용되는 말의 총체. 언어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지역 간 이동이 용이하지 않던 이전 시기에는 각 지역의 토박이말이 비교적 잘 유지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교통 및 통신이 발달되고 표준어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이 확산되면서 지역 방언의 특색이 급격히 사라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은 정읍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에서도 확인된다. 정읍 지역의 언어는 세대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서 쓰이는 토박이말을 통칭하는 말. 정읍은 전북특별자치도 서남부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임실, 서쪽으로는 부안 및 고창, 남쪽으로는 순창 및 전라남도 장성, 북쪽으로는 김제 및 완주에 인접하여 있다. 정읍의 방언은 기본적으로 전북특별자치도 방언의 전반적인 특징이 확인되며, 세부적으로는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여 다음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 먼저 정읍 방언은 김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 사람들이 이로움과 복을 가져오는 좋은 징조라고 여기는 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서 전승되는 길조어는 사람들이 좋은 징조라고 믿는 관습과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길조어는 어떠한 행동을 하여야 우리의 삶에 이로움과 복과 같은 긍정적인 일들이 생기는지 이야기한다. 주로 “무엇을 하여야 복을 받는다. 이렇게 하면 재수가 있다”와 같은 문장 구조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 전하여 내려오는 종교적·도덕적인 이유로 사용을 금지하거나 꺼리는 표현. 정읍 지역에서 전승되는 금기어는 어떠한 행동에 대하여 마음에 거리낌을 주어 하지 않게 하거나 피하게 할 목적으로 쓰이는 말이다. 금기어의 문장 구조는 주로 “다리를 떨면 안 된다”와 같이 특정 행동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다리를 떨면 복이 달아난다”처럼 특정 행동이 초래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