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정읍문화대전 > 정읍향토문화백과 > 삶의 내력(역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의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 정읍은 선사 시대 고창에 이어 고인돌 문화의 중심지였다. 삼한 시대에는 현재의 정읍에 초산도비리국(楚山塗卑離國)이 있었고, 고부에 고사부리국(古沙夫里國)이 있었다. 삼국 시대 정읍은 정촌현(井村縣)이었고, 고부는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이었다. 태인은 인의현(仁義縣)이었고, 현재의 칠보인 태산은 대시산군(大尸山郡)이었...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서 문자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기 이전의 시기. 선사(先史) 시대는 역사(歷史) 시대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문자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기 이전의 시기를 말한다. 선사 시대는 문자 기록이 없으므로 인간이 남긴 물질 자료를 바탕으로 당시의 문화상을 연구하는 고고학(考古學)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초기 철기 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서 인류가 등장한 시기부터 신석기 시대 전까지 뗀석기를 사용한 시대. 구석기 시대(舊石器 時代)는 주로 돌을 깨뜨려 만든 도구를 사용하며, 채집과 사냥, 이동 생활을 하던 시대를 말한다. 구석기 시대는 보편적으로 석기 제작 기법의 변천에 따라 전기, 중기 그리고 후기로 나뉜다. 이른 시기 구석기 시대에는 직접떼기 제작 방식을 이용하여 주먹도끼, 주먹자르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서 간석기와 토기가 사용되던 시대. 신석기 시대(新石器 時代)는 뗀석기[타제석기(打製石器)]을 사용하던 구석기 시대에 비하여 간석기[마제석기(磨製石器)]를 제작·사용하고, 사냥, 채집, 어로, 농경을 바탕으로 한 정착 생활, 토기 제작 등이 이루어지던 시기를 말한다. 한반도에서는 제주도 고산리·서귀포 강정동 유적 등을 중심으로 고산리식 등의 고식토기와 구석...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서 청동기와 민무늬토기를 제작하고 사용하던 시기. 청동기 시대(靑銅器 時代)는 본격적인 농경 사회가 시작되면서 민무늬토기[무문토기(無文土器)]가 제작되고, 간석기와 함께 청동기가 제작되는 시기이다. 주로 강가나 계곡을 내려다볼 수 있는 구릉에 여러 기의 긴 네모형[장방형(長方形)] 또는 둥근형[원형(圓形)]의 집자리가 있으며, 무덤으로는 고인돌[지석묘(支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