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 문학의 전통적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에 관한 개괄. 정읍 문학은 서정성을 바탕으로 하고,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라는 자긍심에 근거한 민중성을 기본 정서로 삼고 있다. 정읍 문학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속성은 장르에 따라 형식성과 내용성으로 교직되어 미적 토대를 이룬다. 정읍 문학은 네 갈래로 창작되어 오면서 한국 문학사의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문집
-
1530년경 발행된 조선 전기 정읍 출신 송세림의 한문 소담집 『어면순(禦眠楯)』은 ‘밀려오는 잠을 막는 방패’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잠을 달아나게 하는 ‘우스운 이야기’나 ‘시덥잖은 이야기’ 혹은 ‘점잖지 못한 이야기’ 등을 모아 놓은 소화집(笑話集)이다....
-
1695년 간행된 조선 전기 정읍 출신 문신인 김제민의 문집. 김제민(金齊閔)[1527~1599]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본관은 의성(義城)이고, 자는 사효(士孝), 호는 오봉(鰲峯), 시호는 충강(忠剛)이다. 아버지는 김효(金孝)이며,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이다. 1573년(선조 6)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형조의 낭관(郎官)을 거쳐 화순현감과 순창군...
-
1819년 간행된 조선 후기 정읍 출신 유학자 은정화의 문집. 은정화(殷鼎和)[1650~1724]는 조선 후기의 유학자로 본관은 행주(幸州)이고, 자는 매경(梅卿), 호는 백계(栢溪)이다. 전라도 태인현[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에서 출생하였고, 최서림(崔瑞琳)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동문들의 추중을 받았다. 선현의 문자를 모두 섭렵하고 그 재능에 따라 후진을 교육하니 원근...
-
1708년 간행된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천문학자 최천벽의 천문서. 『천동상위고(天東象緯考)』는 천문학 교수였던 최천벽(崔天璧)[1640~1713]이 고려 시대 천지의 이상 현상을 모아 엮은 책이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
1673년 간행된 조선 전기에 정읍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이항의 문집. 이항(李恒)[1499~1576]의 본관은 성주이며, 자는 항지(恒之), 호는 일재(一齋)이다. 아버지는 의영고주부(義盈庫主簿)인 이자영(李自英)이며, 어머니는 전주 최씨로 소경전참봉 최인우(崔仁遇)의 딸이다. 박영(朴英)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고봉 기대승과 함께 호남을 대표하는 5현 중 한 명으로, 전북특별자...
-
1704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 정읍 출신 학자 권극중의 시문집. 권극중(權克中)[1585~1659]은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정지(正之), 호는 청하(靑霞)이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송산리에서 태어났다. 고려의 재상 권한공의 후손으로, 권준(權俊)의 아들이다....
-
1674년 간행된 조선 후기 정읍 출신 문장가인 이식의 시문집. 이식(李植)[1584~1647]의 본관(本貫)은 덕수(德水)이며, 자는 여고(汝固), 자호(自號)는 택당(澤堂), 시호(諡號)는 문정(文靖)이다. 이식은 중종·명종 때의 시인·정치가이자 좌의정과 대제학을 지낸 용재 이행(李荇)의 현손자이다. 아버지는 안기도찰방(安奇道察訪)으로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된 이안성(李安性)이...
-
1703년 간행된 조선 후기 정읍 출신 문신 김지수의 시문집. 김지수(金地粹)[1585~1639]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비거(非去), 호는 태천(苔川) 또는 천태산인(天台山人)이다. 외가인 모양현(牟陽縣) 태천 죽곡(苔川 竹谷)[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에서 태어났으며, 정읍 출신 의병장 김제민(金齊閔)의 손자이다. 사헌부지평, 시강원보덕, 종성...
-
1896년 간행된 개항기 정읍 출신 가사 작가 김경흠의 문집. 김경흠(金景欽)[1815~1880]은 고종 때 가사 작가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출신이다.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자는 덕현(德玄), 호는 성은(城隱)이다. 음양오행과 태극도설 등 주역에 통달하였고, 평생 삼강오행을 몸소 실천한 성리학자였다. 김경흠의 아들은 정읍시 태인면 출신으로 독립지사인 춘우정(春雨...
-
1917년 간행된 조선 후기 정읍 출신 학자 한철호의 시문집. 한철호(韓哲浩)[1782~1862]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서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명로(明老), 호는 보산(寶山)이다.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보화리인 전라도 고부군 보강리(普岡里)에서 출생하였다. 대호군(大護軍) 한축(韓軸)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한광진(韓光鎭)이다. 1825년 문과에 급제하...
-
1917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 정읍 출신 문인 안재호의 시문집. 안재호(安在頀)[1821~1873]는 조선 후기의 문인으로 본관은 순흥(順興)이며, 자는 치중(致中), 호는 지산(芝山)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에서 태어났고, 어릴 때부터 효행이 뛰어났다. 대사헌과 이조참판을 지낸 송치규(宋穉圭), 주리파 학자였던 홍직필(洪直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저서로는 『지산유고(...
-
1908년 간행된 개항기 정읍에서 활동한 유학자 최익현의 시문집. 최익현(崔益鉉)[1833~1907]은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유학자로, 본관은 경주,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菴)이다. 1833년 12월 5일[음력]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新北面) 가채리(加采里)에서 아버지 최대(崔岱)와 어머니 경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843년 11세 무렵 화서(華西)...
-
1962년 간행된 개항기 정읍 출신 시인인 옹택규의 문집. 옹택규(邕宅奎)[1852~1928]는 개항기의 시인이다. 본관은 옥천(玉川), 자는 처안(處安), 호는 우련(又蓮)으로 정랑(正郞) 옹몽진(邕夢辰)의 후손이다. 정읍 출생으로 어려서부터 영민하고 시문에 능하여 감영(監營) 희현당(希賢堂)에서 과거 공부를 하는데, 감사(監司) 이병문(李炳文)이 옹택규를 보고는 ‘청련(淸蓮)...
-
1961년 간행된 정읍 출신의 개항기 유학자 김영상의 문집. 춘우정(春雨亭) 김영상(金永相)[1836~1911]은 인산(仁山) 소휘면(蘇煇冕)의 문인으로, 간재 전우, 연재 송병선 등과 교유하였다. 을사조약 후 면암 최익현의 무성창의(武城倡義)에 가담하려 하였으나 노환으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일제가 여론을 조성할 수 있는 인사들을 대상으로 1911년에 은사금(恩賜金)을 보냈으나...
-
1970년 간행된 정읍 출신 근대 유학자 오해겸의 문집. 오해겸(吳海謙)[1890~1925]의 본관은 해주(海州)이고, 자는 사익(士益), 호는 두남(斗南)이다. 정읍 고부 지역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의 말에 따라 열다섯 살에 간재(艮齋) 전우(田愚)[1841~1922]를 사사하고 효행과 화목으로 집안을 가다듬었다. 『간재선생문집(艮齋先生文集)』 발간과 관련하여 영호남 제자 간에...
-
1974년 간행된 정읍 출신 일제 강점기 유학자 최태일의 문집. 최태일(崔泰鎰)[1899~?]은 일제 강점기 유학자이다. 자는 여중(汝重)이고, 호는 백졸(百拙)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정읍 고부(古阜) 출신이다. 간재(艮齋) 전우(田愚)[1841~1922]와 후창(後滄) 김택술(金澤述)[1884~1954]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학행(學行)으로 널리 알려졌다. 아들은 최문...
-
1958년 간행된 정읍 출신 유학자 김종락의 문집. 김종락(金宗洛)[1882~1952]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주백(周伯), 호는 정재(貞齋)이다. 1882년 고부군 답내면에서 출생하였고, 여섯 살 때부터 글을 배워 문리를 터득하였다. 열세 살에는 향교(鄕校)에 입학하여 『맹자(孟子)』를 암송하였다. 열아홉 살에는 원계정사(遠溪精舍)[원계서원(遠溪書院)]에 머물고 있던 연...
-
2004년 간행된 정읍 출신 유학자 김택술의 문집. 김택술(金澤述)[1884~1954]의 본관은 부안(扶安)이며, 자는 종현(鍾賢), 호는 후창(後滄)이다. 1900년 간재(艮齋) 전우(田愚)[1841~1922]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전우에게 ‘후창’이라는 호를 받았다. 1915년 일제의 상사금(賞賜金)을 꾸짖어 물리쳤으며, 큰아들을 일본인의 학교에 입학시키라는 강요를 받았으나 거...
-
1955년 간행된 정읍 출신 유학자 김택술의 문집. 김택술(金澤述)[1884~1954]의 본관은 부안(扶安)이며, 자는 종현(鍾賢), 호는 후창(後滄)이다. 아버지는 김낙진(金洛進)이며, 어머니는 전주 최씨(全州 崔氏)이다. 1900년 간재(艮齋) 전우(田愚)[1841~1922]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전우에게 ‘후창’이라는 호를 받았다. 1915년 일제의 상사금(賞賜金)을 꾸짖어...
-
1985년 간행된 정읍에서 활동한 근대 문인 박경양의 문집. 박경양(朴敬養)[1895~1977]은 자는 중직(仲直), 호는 춘산(春山), 또는 의방재(義方齋)이며, 본관은 부춘(富春)이다. 아버지는 박제풍(朴濟豊)이고, 어머니는 김해 김씨(金海 金氏)이다. 박경양은 1895년 12월 12일에 함평 부춘동[현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부춘리]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 일찍이 부모를 여의...
-
1983년 간행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출신 유학자 최민열의 문집. 최민열(崔敏烈)은 1896년 3월 13일 전라북도 고부현(古阜縣) 우덕면(優德面) 두지동(斗池洞)[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에서 태어나 1980년 사망하였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이구(以求), 호는 종양(宗陽)이다. 근현대 유학자로 후창(後滄) 김택술(金澤述)의 제자이다. 1910년 일제가 한일합방을...
-
1981년 간행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출신의 유학자 김균의 시문집. 김균(金㽦)[1888~1978]의 본관은 도강(道康), 초명은 환각(煥珏), 자는 중옥(重沃)·중옥(中沃), 호는 염재(念齋) 또는 긍세당(矜細堂)이다. 1888년 12월 3일 전라도 고부군 도찬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인 항일 지사 춘우정(春雨亭) 김영상(金永相)[1836~19...
-
1999년 간행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출신 김억술의 문집. 김억술(金億述)[1899~1959]의 본관은 부안(扶安), 자는 여안(汝安), 호는 척재(拓齋)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창동리(滄東里)에서 태어났다. 후창(後滄) 김택술(金澤述)의 동생이며 동문으로는 김홍재(金弘梓), 김현술(金賢述), 최태익(崔泰鎰), 김형익(金炯翼), 임종원(林鐘元) 등이 있다. 아버지 김낙...
-
1976년에 간행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출신 유학자 권순명의 문집. 권순명(權純命)[1891~1974]은 본관은 안동, 자는 고경(顧卿), 호는 양재(陽齋)이며, 아버지는 권원(權源)이고, 어머니는 강릉 유씨(江陵 劉氏)로 유종갑(劉鍾甲)의 딸이다. 간재 전우(田愚)의 문인이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스승 전우를 따라 서해의 고군산도(古群山島), 왕등도(旺嶝島), 계화도(繼華...
-
1786년에 간행된 조선 전기 정읍에서 활동한 문인 정극인의 문집. 정극인(丁克仁)[1401~1481]은 경기도 광주(廣州) 출신으로 본관은 영광이며 자는 가택(可宅), 호는 불우헌(不憂軒)·다헌(茶軒)·다각(茶角)이다. 아버지는 진사 정곤(丁坤)으로 알려졌는데 『국조방목(國朝榜目)』에는 정인(丁寅)의 아들로 되어 있다. 1437년(세종 19) 세종이 흥천사(興天寺)를 중건하기 위...
-
2010년 간행된 정읍 출신 문인 김형관의 문집. 김형관(金炯觀)[1915~1998]은 본관은 부안이며, 자는 극부(克孚), 호는 건암(健菴) 또는 기산(麒山)이다. 초명은 김형익(金炯益)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창동리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유학자 후창(後滄) 김택술(金澤述)[1884~1954)이다. 김형관은 아버지 후창을 따라 부안 월포 등으로 옮겨 다니면서 꾸준하...
-
1982년 간행된 조선 후기 정읍 출신 유학자 변우기의 문집. 변우기(邊遇基)[1799~1881]는 조선 후기의 유학자로 본관은 황주(黃州)이며, 자는 위수(渭수), 호는 용헌(慵軒)이다. 사옹원정을 거쳐 함안군수를 지낸 망암(望庵) 변이중(邊以中)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변규용(邊奎容)이다. 정읍 태인 고현(古縣) 반곡리(盤谷里)에서 출생하였고 학행으로 이름이 있었다....
-
1796년 정읍 태인 지역에서 간행된 『상설고문진보대전 후집』 방각본.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은 중국 송나라 말기의 학자 황견(黃堅)이 전국 시대부터 송나라 말기까지의 시문을 수록하여 간행한 시문 선집이며, 20권 10책으로 편찬되어 있다. 전집과 후집으로 나누어 전집에는 주로 시를, 후집에는 문을 수록하고 있다. 『상설고문진보대전 후집(詳說古文眞寶大全 後集)』은 『...
문학작품
-
백제 시대부터 정읍 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작자 미상의 가요. 「정읍사(井邑詞)」는 백제 시대부터 민간에서 구전되어 온 가요로 알려져 있다. 조선 시대에 편찬된 악서인 『악학궤범(樂學軌範)』 권5 ‘시용향악정재조(時用鄕樂呈才條)’에 노래 가사가 「동동(動動)」, 「처용가(處容歌)」, 「정과정(鄭瓜亭)」 등의 고려 가요와 함께 실려 전하게 되었다. 조선 전기에 편찬된 『고려사(高麗史)...
-
1470년 조선 전기 정읍에서 활동한 정극인이 지은 가사. 「상춘곡」은 1470년(성종 1) 조선 전기 정읍에서 활동한 문신 정극인(丁克仁)[1401~1481]이 지은 가사이다. 1786년 간행한 정극인의 문집 『불우헌집(不憂軒集)』 권2 가곡 편에 「불우헌가」, 「불우헌곡」과 함께 실려 있다. ‘상춘(賞春)’은 봄을 즐긴다는 뜻이다. 작가가 봄날의 아름다움, 즉 자연의 아름다움을...
-
1991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활동한 고단이 발표한 규방 가사. 「산외별곡」은 정읍시 산외면의 풍광을 노래한 규방 가사이다. 1991년 삼성사에서 발행한 소고당(紹古堂) 고단(高端)[1922~2009]의 『소고당가사집(紹古堂歌辭集)』 상권에 실렸다. 「산외별곡」을 지은 고단은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평화리 출생이며, 김환재(金煥在)[1920~2010]와 결혼하면서 산외면 평사...
-
1988년 발행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출신 작가 이은직의 장편 소설. 『탁류』는 일본 신흥서방에서 1967년부터 1968년까지 3권으로 발행된 재일 작가 이은직(李殷直)[1917~2016]의 대하소설이다. 이은직은 1917년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오금리에서 태어났으며 1937년 일본으로 건너가 작가 활동을 시작하였다. 2016년 일본에서 사망하였다. 『탁류』는 해방...
-
1894년 정읍 지역에서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한 문학 작품. 한국 문학사에서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한 문학 작품이 창작되기 시작한 것은 오래되지 않았다. 일부 연구자들은 식민지기의 작가들이 일제의 검열을 의식한 나머지 소극적으로 움직였다고 두둔한다. 하지만 일제의 사상 통제가 강화되던 1931년 8월부터 역사학자 김상기가 『동아일보』에 「동학과 동학란」을 연재하였으니, 동...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내장산을 소재로 한 문학 작품. 내장산(內藏山)은 국내에서 단풍의 명승지로 유명하다. 예로부터 내장산은 조선 8경 중 하나였으며, ‘호남의 금강산’이라고 불렸다. 지금도 가을철이면 많은 관광객들이 내장산의 단풍을 구경하러 찾아온다. 일제 강점기에는 궁핍한 현실 속에서도 각 신문마다 내장산 탐승객들을 모집하였다. 1939년 일본 오사카에서는 내장사(內藏寺...
문학 단체·행사·문예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한국문인협회의 산하 단체.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는 정읍 지역을 대표하는 문인 단체이며, 정읍과 중앙의 문학적 가교 역할을 수행하면서 기관지 『정읍내장문학』을 발간하여 정읍 문학의 수준을 내외에 과시하고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정읍문학회가 주관하는 문학 작품 공모전. 2013년 정읍문학회가 존재감을 현양하고, 「정읍사」의 정신을 널리 알리고자 정읍시의 후원을 받아 전국 단위로 정읍사문학상 공모전을 시작하였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에서 주최하는 문학 작품 공모전.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에서 2007년부터 정읍시청의 재정 지원을 받아서 「상춘곡」의 정신을 계승하고, 전국에 널리 전파할 목적으로 문학 작품[시, 시조, 수필] 공모전을 시작하였다....
-
1994년부터 정읍문화원에서 주최하는 한시 공모전에 입상한 작품을 수록한 작품집. 『한시공모작품집』은 1994년부터 2023년까지 정읍문화원에서 주최한 전국 단위 한시 공모전의 당선작과 응모작을 매년 전량 수록하여 발간하는 작품집이다....
-
2001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정읍문학회에서 창간하여 매년 발행하는 문학 동인지. 『정읍문학』은 2001년 6월 20일 창립된 정읍문학회에서 2001년부터 매년 발간하고 있는 정읍 지역의 문학 동인지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에서 매년 발행하는 문학 동인지. 『정읍내장문학』은 2023년 현재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인 정읍내장문학회(井邑內藏文學會)에서 발간하는 문학 동인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