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화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부전동 정읍시립박물관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최치원 초상화. 최치원(崔致遠)[857~?]은 통일 신라 말 문장가이다. 최치원은 886년 태산군[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태인면]에 태수로 부임하여 호남 유교 문화의 꽃을 피웠으며, 최치원 영당이 정읍 무성서원에 조성되었다. 숙종 대[1674~1720]에 지어진 「무성서원치제문」에는 “오직 최치원의 …… 문장...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에 있는 송정을 배경으로 10명의 선비들을 그린 일제 강점기 산수인물도 겸 기록화. 송정(松亭)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원촌마을의 성황산 중턱에 있는 누각이다. 송정은 조선 광해군 때 10현(賢)이 내려와 음풍농월하며 지내던 곳으로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이다. 10현은 광해군 때 폐모 사건에 항소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 사람들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정읍 무성서원을 주변의 풍광을 묘사한 일제 강점기 실경 산수화. 칠광도(七狂圖)는 정읍 무성서원을 중심으로 7인과 주변의 풍광을 사실대로 묘사한 그림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출신의 어진 화가인 석지 채용신이 1764년 송민교가 그려 놓은 그림을 토대로 1910년 다시 그렸다. 칠광도의 ‘칠광’이란 1613년에 광해군의 인목대비 폐위에 반발하여 지금의...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부전동 정읍시립박물관에 있는 향음주례의 절차와 방법을 도식화한 조선 후기 의례화. 맨 위에 그림의 제목[화제]인 ‘향음주례지도(鄕飮酒醴之圖)’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기입하였고, 그 아래에 유생들이 어른을 모시고 예법에 따라 술을 마시며 모임을 갖는 의식을 그린 의례 절차도이다. 1814년에 제작되었고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부전동 정읍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성황산 송정을 배경으로 계 모임을 하는 장면을 담은 조선 후기 산수 인물화. 「송정수계지도(松亭修契之圖)」는 계 모임을 하는 10명의 선비와 시중을 드는 인물들, 그리고 아직 당도하지 않은 사람들을 그린 산수 인물화이자 기록화이다. 1621년(광해군 13) 송민고의 작품에 대한 1814년의 모사본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에 있는 조선 시대 신잠 조각상. 영상(影像)은 부처나 사람의 모습을 그림이나 조각으로 나타낸 것으로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다. 태인신잠선생영상(泰仁申潛先生影像)은 조선 중종 때 관리였던 신잠(申潛)[1491~1554]과 관련된 영상으로 추측된다. 신잠은 1543년(중종 38) 태인현감으로 부임하여 1549년(명종 4)까지 6년...
문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부전동 정읍시립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전기 김회련이 받은 공신녹권.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金懷鍊 開國原從功臣錄券)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나라를 세우는 데 공헌한 신하들에게 내린 것으로, 1395년(태조 4) 김회련을 개국원종공신으로 책록하는 증서이다. 개국원종공신은 정공신 다음으로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리는 훈호이다. 당시 김회련은 공신 훈호와 함께...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장관에게 발급한 공신녹권.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張寬 開國原從功臣錄券)은 조선 태조 대에 장관에게 발급된 공신녹권이다. 1981년 7월 15일 보물 제72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보물로 변경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부전동 정읍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 김회련이 관직을 임명받은 사령서. 김회련 고신왕지(金懷鍊 告身王旨)는 이성계가 개국에 공을 세운 김회련을 통정대부 공주목사(公州牧使) 겸 관내권농방어사(管內勸農防禦使)로 임명한 사령왕지(辭令王旨) 1매와 가선대부 해주목사(海州牧使) 겸 권농병마단련사(勸農兵馬團鍊使) 염장관(鹽場官)으로 임명한 왕지 1매 등 2점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부전동 정읍시립박물관에 있는 도강 김씨 훈도공파 종중의 고문서. 도강김씨 훈도공파 종중 고문서(道康金氏 訓導公派 宗中 古文書)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일대에 세거한 도강 김씨 문중의 고문서 8매[교지 4, 교첩 3, 분재기 1매]이다. 2007년 9월 21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1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에 있는 최재필 가전 조선 후기와 개항기 고문서들. 「최재필 소장 고문서」는 크게 진주 최씨와 인동 장씨 문서로 이루어져 있다. ‘진주 최씨 고문서’는 최재필 선대의 것으로 1798년부터 1882년까지 태인군에 제출한 호구단자와 태인군에서 발급한 준호구 등 20점이다. ‘인동 장씨 고문서’는 1800년 후반에 생산된 문서로 장수윤와 장덕중 관련 교...
-
1897년부터 1907년 사이에 태인군에서 생산된 보고서와 훈령. 「태인군수 보고서(泰仁郡守 報告書)」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의 동학농민혁명기념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문서이다. 문서는 크게 보고서와 훈령(訓令)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갑오개혁 이후 근대 공문서 규칙이 만들어지면서 새로 등장하였다. 보고서는 조선의 첩정, 첩보와 마찬가지로 하급 관아에서 상급 관아로 올리는...
-
1893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서 전봉준 등이 동학농민혁명 거사를 결의하여 작성한 문서 및 동학교단에서 송두호 등에게 발급한 문서. 사발통문(沙鉢通文)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사발(沙鉢)은 사기로 만든 밥그릇이나 국그릇을 말하며, 통문(通文)이란 여러 사람의 성명을 적어 돌려 보는 통지문을 의미한다. 통문이란 서원·향교·문중(門中)·유생(儒生)·결사(結社)와 의병, 혁명이나...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동학농민혁명기념관에 소장된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흥선대원군이 각 지역에 해산 권고 글.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혁명 당시 흥선대원군이 삼남 지역에 보내어 농민군의 해산을 권고한 문서이다. 현재 남아 있는 문서로 유일하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하학리 56-1] 동학농민혁명기념관에 보관되어 있다. 흥선대원군 효유...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동학농민혁명기념관에 소장된 동학농민군 유광화가 동생에게 보낸 편지. 동학농민군 유광화 편지는 1894년 늦가을, 동학농민군 유광화(劉光華)[1858~1894]가 고향 전라도 나주에 있는 동생 유광팔(劉光八)에게 인편으로 보낸 순 한문 편지이다. 유광화는 1858년 현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에서 통정대부를 역임한 유몽렬과 김해 김씨의 아들로 태어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농민혁명기념관에 소장된 동학농민군 한달문이 어머니에게 보낸 한글 편지. 동학농민군 한달문 편지는 한달문(韓達文)[1859~1895]이 고향에 있는 어머니에게 쓴 옥중 한글 편지 원본이다. 한달문은 1859년 6월 2일 전라도 화순군 도장면 동두산[현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원천리 동산] 출신으로 1886년 27세에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평동 필야정에서 일제 강점기 개최한 활쏘기 대회 기록. 필야정은 1886년 3월 설립된 유서 깊은 사정(射亭)[국궁장]이다. 처음 건립된 곳은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시기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으로 설립 당시 이름은 ‘초남정(楚南亭)’이었다. 1919년 11월 수성리[현 수성동]에 한옥을 새로 짓고 ‘필야정(必也亭)’이라 이름을 바꾸어 이전하였다...
전적
-
1592년부터 1593년까지 정읍 출신의 안의와 손홍록이 내장산에서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면서 저술한 책. 임계기사(壬癸記事)는 안의의 후손가에 보관되고 있다가, 2012년 6월 후손 안성하가 정읍시에 기탁하였다. 현재 정읍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017년 3월 31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4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
-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소모사 조시영이 동학농민군을 토벌하면서 각급 기관과 주고받은 공문서 등을 모은 개항기 전적. 1894년 11월 13일, 김산(金山)은 호남과 영남의 요충지에 있으니 조시영을 소모사(召募使)[조선 시대에 병란이 발발한 지역의 향병(鄕兵)을 모집하기 위하여 국왕이 임시로 임명하던 관리]로, 김산군수 박준빈(朴駿彬)을 조방장(助防將)[조선 시대에 외적이나 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동학농민혁명기념관에 소장된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홍계훈의 양호초토사 임명 명령서와 교신 전보를 모은 책. 홍계훈유서와 양호전기(洪啓薰諭書와 兩湖電記)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동학농민혁명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홍계훈유서(洪啓薰諭書)는 1894년 4월 2일 고종이 양호초토사(兩湖招討使)에 임명된 홍계훈(洪啓薰)[1842~189...
-
1951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 거주하였던 박문규가 동학농민혁명을 경험한 내용을 회고하며 기록한 문집. 석남역사(石南歷事)의 앞부분에는 고조선부터 조선 시대까지 역사의 줄거리를 간추려 정리한 조선개국역년사(朝鮮開國歷年史)와, 백두산 등 조선 각지를 돌아 본 유람기가 있고, 다음으로 박씨 조상들이 전라도 고부군 석교리에 터를 잡고 대대로 살아온 내용을 담은 박씨정기역사(朴氏...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에 있는 동학교인들의 내력에 대한 기록 및 동학 전파 내력과 동학농민혁명 약사를 기록한 책. 순교약력(殉敎略歷)은 1923년 3월 최병현(崔炳鉉)이 기록한 책이며, 종리원사 부동학사(宗理院史 附東學史)는 1924년 9월 최병현이 유태홍(柳泰洪)의 구술을 정리한 책이다. 순교약력과 종리원사 부동학사(殉敎略歷과 宗理院史 附東學史)는...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에 있는 정읍 무성서원의 사적과 연원 등을 기록한 근대 서원지. 『무성서원지(武城書院誌)』는 정읍 무성서원[사적]과 관련한 제반 사항과 향사(鄕祠)[이름난 학자, 충신 등의 공적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집을 세우고 제사 지내는 사당]에 제향된 인물들의 사실을 간략히 수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