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정읍문화대전 > 정읍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인물) > 전통 시대 인물 > 의병
-
조선 전기 정읍에 거주한 문신이자 의병장. 김제민(金齊閔)[1527~1599]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사효(士孝), 호는 오봉(鰲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운추(金運秋)이고, 할아버지는 김부현(金溥賢)이다. 아버지는 김호(金灝)이고, 어머니는 김석옥(金錫沃)의 딸 부령 김씨(扶寧 金氏)이다. 부인은 김윤구(金潤球)의 딸 김해 김씨(金海 金氏)이고, 아들은 김서(金曙)·김엽...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무신. 이경국(李敬國)[1549~1597]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예경(禮卿), 호는 격암(格庵)이다. 아버지는 공조참의 이덕붕(李德鵬)이고, 동생은 이안국(李安國)·이영국(李榮國)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문신. 김흔(金昕)[1558~1629]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숙승(叔昇), 호는 학산(鶴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부현(金溥賢)이고, 할아버지는 김호(金灝)이다. 아버지는 전라도사를 지낸 의병장 김제민(金齋閔)이고, 어머니는 김윤구의 딸 김해 김씨(金海 金氏)이다. 형은 김서(金曙)·김엽(金曄)이고, 동생은 김안(金晏)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무신이자 의병장. 유춘필(柳春泌)[1566~1597]의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자는 국향(國響), 호는 단구(丹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연(柳淵)이고, 할아버지는 유회지(柳懷芝)이다. 아버지는 유함(柳涵)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의병장. 이허량(李許樑)[1567~1597]의 본관은 봉산(鳳山)이며, 자는 경언(擎彦)이다. 할아버지는 이정인(李貞仁)이고, 아버지는 종사랑 이민효(李敏孝)이다. 부인은 유희저(柳希渚)의 딸 고흥 유씨(高興 柳氏)이고, 이들은 이지웅(李之雄)이다....
-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무신. 백광언(白光彦)[1554~1592]의 본관은 해미(海美)이며, 호는 풍암(楓巖)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장. 유희진(柳希津)[1558~1597]의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자는 택민(澤民), 호는 신암(信庵)이다. 아버지는 유사춘(柳思春)이며, 동생은 유희문(柳希汶)·유희사(柳希泗)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장. 민여운(閔汝雲)[?~1593]의 본관은 여흥(驪興)이며, 자는 용종(龍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균관전적 민구손(閔龜孫)이고, 할아버지는 좌찬성 민제인(閔齊仁)이다. 아버지는 예빈시봉사 민사관(閔思寬)이고, 어머니는 경주 김씨(慶州 金氏)이다. 부인은 진주 정씨(晉州 鄭氏)이고, 아들은 민격(閔格)·민집(閔楫)·민익(閔榏)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무신. 신호(申浩)[1539~1597]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언원(彦源)이다. 할아버지는 신석형(申碩衡)이고, 아버지는 신희중(申希仲), 어머니는 장희령(張希齡)의 딸 창녕 장씨(昌寧張氏)이다. 부인은 최진홍(崔鎭洪)의 딸 전주 최씨(全州 崔氏)이고, 아들은 신천기(申天紀)·신대기(申大紀)이다....
-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의병장. 최응립(崔應立)[1599~1637]의 본관은 삭녕(朔寧)이며, 자는 주극(柱極), 호는 동계(東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조참판 최옹(崔顒)이고, 할아버지는 최상찬(崔尙鑽), 아버지는 최한국(崔罕國)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