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42
한자 彦陽金氏三綱旌閭
이칭/별칭 김준 충신 정려,김준처 김씨 정려,김유성 정려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용계동 272-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29년연표보기 - 언양김씨삼강정려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2000년 11월 17일연표보기 - 언양김씨삼강정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9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언양김씨삼강정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언양김씨삼강정려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언양김씨삼강정려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현 소재지 언양김씨삼강정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용계동 272-1 지도보기
성격 정려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소유자 언양 김씨 장무공파 종중
관리자 언양 김씨 장무공파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용계동에 있는 언양 김씨 집안의 조선 후기 정려.

[개설]

언양김씨삼강정려(彦陽金氏三綱旌閭)는 1629년 언양 김씨 김준(金浚)[1582~1627], 김준의 아내 정부인 김씨, 김준의 아들 효자 김유성의 충과 효를 기리기 위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용계동에 세운 정려이다. 김준은 본관이 언양(彦陽), 자는 징언(澄彦), 시호는 장무(壯武)이다. 김준정묘호란 때 안주성을 지키다가 순절하였다. 아들 김유성도 아버지의 순절 소식을 듣고 적병과 싸우다가 순절하였으며, 아내 김씨도 세 살 난 딸과 함께 죽었다. 전쟁이 끝난 후 인조는 “한 집안이 삼강(三綱)[충·효·열]을 갖추었다”라고 치하하고, 숭정대부 우찬성을 증직하는 한편, 명정(命旌)을 내리고, 예조정랑을 보내어 제문으로 영령을 위로하였다. 아내 김씨에게는 정부인(貞夫人), 아들 김유성에게는 통정대부 호조참의를 증직하는 동시에 정려(旌閭)를 내렸다. 봉산군수의 아들 나수소와 혼인하였다가 아버지의 소식을 듣고 자결을 시도하고 단식으로 목숨을 끊은 김준의 딸 김씨에게도 정려를 내렸다. 언양김씨삼강정려는 2000년 11월 17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고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위치]

언양김씨삼강정려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용계동 272-1번지에 있다. 정문마을 회관에서 동쪽의 산으로 향하는 길을 따라 100m가량 이동하면 나온다.

[형태]

언양김씨삼강정려는 200여 평[약 661㎡]의 대지 위에 전통식 담장을 쌓고 정면 중앙에 문루를 세웠다. 담장 안에는 정면 3칸, 측면 1칸, 맞배지붕 겹처마 건물이 있다. 벽면 전체를 상하 2단으로 나누어 홍살을 박아 외부에서도 볼 수 있게 하였다. 각 칸마다 현판이 하나씩 있다.

가장 오른쪽에 있는 현판은 ‘충신 증숭정대부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행통정대부안주목사 겸 방어사 김준지려 숭정이년이월일(忠臣 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 兼 判義禁府事 行通政大夫 安州牧使 兼 防禦使 金浚之閭 崇情二年二月日)’이라 쓰여 있다. 중앙의 현판에는 ‘열녀 증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행통정대부 안주목사 겸 방어사 김준 처 증정부인 김씨지려 숭정이년 이월 일(烈女 贈崇政大夫 議政府左贊成 兼 判義禁府事 行通政大夫 安州牧使 兼 防禦使 金浚 妻 贈貞夫人 金氏之閭 崇情二年 二月 日)’이라 쓰여 있다. 맨 왼쪽의 현판에는 ‘효자 증통정대부 호조참의 김유성지려 숭정이년 이월 일(孝子 贈通政大夫 戶曹參議 金有聲之閭 崇情二年 二月 日)’이라 쓰여 있다. 정려비각의 앞, 출입문 오른쪽에 충노(忠奴) 헌충비(獻忠碑)가 있다. 헌충비는 높이 91㎝, 폭 38㎝, 두께 16㎝이다.

[현황]

2023년 현재 언양김씨삼강정려는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언양김씨삼강정려정묘호란에서 순절한 김준 집안의 충효를 알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