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43
한자 柳惺 孝子旌閭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 139-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55년연표보기 - 류성 효자정려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32년 - 류성 효자정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 139-3으로 이건
현 소재지 류성 효자정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 139-3 지도보기
원소재지 류성 효자정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지도보기
성격 정려각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1칸
측면 칸수 1칸
소유자 고흥 류씨 문중
관리자 고흥 류씨 문중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에 있는 류성의 효행을 기리는 조선 후기 정려.

[개설]

류성(柳惺)[1690~1751]은 본관이 고흥(高興), 자는 경수(敬叟), 호는 사이당(四以堂)이다. 5대조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인 류희진(柳希津)[1558~1597]이며, 고조할아버지는 류흥종(柳興宗), 증조는 류우백(柳友栢), 할아버지는 류시한(柳蒔漢), 아버지는 류상휘(柳祥輝)이다. 외할아버지는 의성 김씨(義城 金氏) 김중우(金重羽)이다. 류성은 정읍에서 출생하였다. 천성이 총명하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근엄하여 도덕군자라 일컬어졌다. 1747년(영조 23) 실시된 정묘식년시 생원시에 3등 46위로 58세에 합격하였다. 1717년(숙종 43) 친병(親病)에 3년 동안 상분시탕(嘗糞侍湯)[대변을 맛보아 병의 증세를 살피고, 약을 써서 병환을 시중함]하고, 하늘에 빌어 마침내 쾌유되었다.

1728년(영조 4) 어버이 상을 당하여 예를 다하였으며, 어머니 의성 김씨의 병환에는 하늘에 빌어 산신[호랑이]으로부터 사슴을 얻었으니, 당시 인근에서 효행으로 유명하였던 구암(龜岩) 황이정(黃履正), 죽지 이씨(竹支 李氏)와 더불어 초산삼절(楚山三節)로 일컬어졌다. 류성의 묘소는 정읍시 산외면 엄치촌에 있다. 장인은 능성 구씨(綾城 具氏) 구만원(具萬源)이며 아들은 류문좌(柳文佐)이다.

[위치]

류성 효자정려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 139-3번지 원승부 마을회관 앞에 있다.

[변천]

류성은 1855년(철종 6) 9월 효행으로 명정되어, 내장동에 정려를 세웠으며, 1932년 1월 현재의 북면 승부리로 옮겼다.

[형태]

류성 효자정려는 붉은 벽돌 담장을 둘러져 있고 안에 정려각이 있다. 정려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 겹처마 맞배지붕으로 풍판을 둘렀다. 비각 안에는 ‘효자성균생원고흥류성지려 상지육년을묘구월상한 간(孝子成均生員高興柳惺之閭 上之六年乙卯九月上澣 刊)’이라고 쓰인 현판이 있다. 보호각 안에는 ‘효자고흥류공성 기적비(孝子高興柳公惺 紀蹟碑)’라고 쓰인 비석이 있다. 비석은 1996년 태인 허씨(泰仁 許氏) 허철수(許喆洙)가 글을 짓고 글씨를 썼다. 이 외에 1855년 태인현감 한산 이씨 이승경(李承敬)[재임 1853~1857]이 지은 글을 2009년 류연표(柳然杓)가 새긴 「효자류공정려기(孝子柳公旌閭記)」가 있고, 1855년 정읍현감 이휘정(李彙廷)[재임 1853~1857]이 쓰고, 2009년 류연표가 새긴 ‘효자사이당유공정려각명병서(孝子四以堂柳公旌閭閣銘並書)’ 현판이 있다.

[현황]

2023년 현재 관리가 잘 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류성 효자정려는 지극정성으로 부모를 모신 고흥 류씨 류성의 효행을 알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