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49
한자 孝子 學生 金命基之閭
이칭/별칭 김명기 정려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달천리 90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88년연표보기 - 효자 학생 김명기지려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46년 - 효자 학생 김명기지려 이건
현 소재지 효자 학생 김명기지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달천리 905 지도보기
원소재지 효자 학생 김명기지려 - 충청남도 공주시 구칙
성격 정려각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1칸
측면 칸수 1칸
소유자 광산 김씨 문중
관리자 광산 김씨 문중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달천리에 있는 김명기의 효행을 기리는 조선 후기 정려.

[개설]

김명기(金命基)[1701~1742]는 본관이 광산(光山), 자는 백업(白業), 호는 산의재(山義齋)이다. 문열공(文烈公) 김치기(金恥基)의 후손이며, 고조할아버지는 김효성(金孝誠), 증조할아버지는 김익제(金益濟), 할아버지는 김한조(金翰朝), 아버지는 김성오(金成五)이다. 김명기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고, 학문이 높았으며 부모를 봉양함에 정성을 다하였는데, 아버지의 병환에 시탕(侍湯)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백방으로 약을 구하여 간호하면서 자신이 대신하게 하여 달라고 조상에게 빌었지만 백약이 무효로 끝내 세상을 떠나자, 예를 다하여 장사를 지낸 뒤 3년을 하루같이 슬피 울며 성묘를 하여 무덤의 풀이 마를 정도였다고 한다. 김명기는 3년상을 마치고 1742년 사망하였다. 이후 김명기의 효행을 흠모하는 지방 유림들이 조정에 천거하여 1785년 효행으로 명정이 내려지고 1788년 정려를 세웠다.

[위치]

효자 학생 김명기지려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달천리 905번지에 있다.

[변천]

효자(孝子) 학생(學生) 김명기지려( 金命基之閭)는 1788년 충청남도 공주 구칙(九則)에 김명기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려이다. 1946년 3월 정읍시 덕천면 달천리 용곡마을로 이건하였다. 후손이 정읍으로 이거하면서 정려도 이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효자 학생 김명기지려는 붉은 벽돌을 이용하여 담장을 둘렀으며 담장 안에 정려각이 있다. 정려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 홑처마 맞배지붕이며, 방풍판을 설치하였다. 화강암으로 하단부 기단을 두르고 위에 목재 기둥을 세웠으며 기둥의 겉에는 금속으로 둘렀다. 정려각에는 현판이 두 개가 있는데, 중앙의 현판에는 ‘효자 학생 김명기지려 상지구년을사십일월 육일 명정 무신사월 립(孝子 學生 金命基之閭 上之九年乙巳十一月 六日 命旌 戊申四月 立)’이라 쓰여 있다. 이로 보아 1785년(정조 9) 명정을 받고, 1788년 건립된 것을 알 수 있다. 뒤쪽에 있는 현판은 ‘산의재 김공정려 이건기(山義齋金公旌閭移建記)’이다. 이건기는 병술년(1946) 3월 의성 김종락(金宗洛)이 썼다.

[현황]

2023년 현재 효자 학생 김명기지려는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효자 학생 김명기지려는 부모를 극진히 보살핀 김명기의 효행을 살필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