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55
한자 李文邦 妻 光山盧氏 旌閭
이칭/별칭 열녀 이문방지처 증숙부인 노씨지려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 진흥리 50-7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72년연표보기 - 이문방 처 광산 노씨 정려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29년 - 이문방 처 광산 노씨 정려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부안면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 진흥리 50-7로 이건
현 소재지 이문방 처 광산 노씨 정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 진흥리 50-7 지도보기
원소재지 이문방 처 광산 노씨 정려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부안면
성격 정려
양식 팔작지붕
크기(높이, 너비, 두께) 95㎝[높이]|33㎝[너비]|13㎝[두께]
소유자 연안 이씨 문중
관리자 연안 이씨 문중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 진흥리에 있는 이문방의 처 광산 노씨를 기리는 조선 후기 정려.

[개설]

이문방 처 광산 노씨 정려(李文邦 妻 光山 盧氏 旌閭)는 1929년 이문방(李文邦)의 아내 광산 노씨(光山 盧氏)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려이다. 열녀 이문방지처 증숙부인 노씨지려(烈女 李文邦之妻 贈淑夫人 盧氏之閭)라고도 한다. 광산 노씨는 문의공 노수신(盧守愼)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노언옥(盧彦玉)이다. 노씨는 남편이 병이 들자 온갖 방법으로 병구완을 하였으나 남편이 죽자 목을 메어 죽었다. 이문방은 본관이 연안이고, 석흥군(碩興君) 이척(李惕)[1569~1637]의 6세손이며, 아버지는 사복정 이호덕(李好悳)이다. 고부 부안면(富安面) 검곡(儉谷)에 거주하였다. 둘째아들 이의봉(李義奉)의 아내 여산 송씨(礪山 宋氏)도 16세에 남편이 죽자 치상 후 죽었다. 가문에 열녀가 세 사람이나 나왔다. 기사년 사월에 연안인 김창석(金昌碩)이 글을 지었다.

[위치]

이문방 처 광산 노씨 정려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 진흥리 50-7번지에 있다. 산지마을회관 왼쪽에 있는 뒤로 이어지는 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마을회관 바로 뒤쪽에 있다.

[변천]

이문방 처 광산 노씨 정려는 1772년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부안면의 검곡(儉谷)에 건립되었다가 1929년 현재 위치로 이건되었다.

[형태]

이문방 처 광산 노씨 정려는 시멘트 벽돌을 쌓은 담장을 두르고 안에 정려비각을 세웠다. 정려각 안에 비석이 있다. 정려비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겹처마이며, 활주를 세웠다. 비석은 둥근 모양의 화강암 기단 위에 비신을 올렸다. 뚜껑돌은 없다. 비석은 높이 95㎝, 너비 33㎝, 두께 13㎝이다.

[금석문]

비석의 정면에는 ‘열녀 증통정대부 승정원좌부승지 겸 경연참참관 이문방지처 증숙부인 노씨지려 영종사십칠년임진 명정 오대손 의열부 박씨 중건(烈女 贈通政大夫 承政院左部承旨 兼 經筵參贊官 李文邦之妻 贈淑夫人 盧氏之閭 英宗四十七年壬辰 命旌 五代孫 義烈婦 朴氏 重建)’이라 쓰여 있다. 비석의 좌측면부터 「정려실기(旌閭實記)」가 기록되어 있다.

[현황]

이문방 처 광산 노씨 정려는 2023년 4월 현장 조사 결과 주변에 잡초가 우거져 있으며, 홍살도 무너지는 등 관리가 매우 소홀한 편이다.

[의의와 평가]

이문방 처 광산 노씨 정려광산 노씨의 열행을 살필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