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64
한자 寒溪 孫弘祿 墓
이칭/별칭 손홍록 묘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능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반곡리 산9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1537년 - 손홍록 출생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1600년 - 손홍록 사망
조성 시기/일시 1600년연표보기 - 한계 손홍록 묘 조성
개축 시기/일시 1961년 - 한계 손홍록 묘 비석 건립
이장 시기/일시 1988년 - 한계 손홍록 묘에 아내 무덤 합장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5월 14일연표보기 - 한계 손홍록 묘 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제20호 지정
현 소재지 한계 손홍록 묘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반곡리 산95 지도보기
성격
양식 봉토분
관련 인물 손홍록
봉분 크기/묘역 면적 높이 100㎝, 지름 452㎝, 둘레 1,420㎝[봉분]|너비 41㎝, 높이 113㎝, 두께 19㎝[비석]
소유자 밀양 손씨 문중
관리자 밀양 손씨 문중
문화재 지정 번호 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제20호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반곡리에 있는 한계 손홍록의 조선 후기 묘소.

[개설]

손홍록(孫弘祿)[1537~1600]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전주로 침입하려 하자 전라감사 이광(李光)의 지시로 경기전참봉 오희길(吳希吉), 안의(安義) 등과 함께 전주사고에 있던 『조선왕조실록』내장산으로 옮기고 보관하는 데 지원하였다. 한계 손홍록 묘(寒溪 孫弘祿 墓)는 2021년 5월 14일 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제20호로 지정되었다.

[위치]

한계 손홍록 묘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반곡리 산95번지에 있다. 정읍시 칠보면 칠보산로 1213-60[반곡리 1361-122]에 충의재(忠義齋)라는 재실이 있다. 재실의 오른쪽에는 김해 김씨 묘역이 있으며, 서쪽으로 산길을 따라 약 200m를 이동하면 밀양 손씨 묘역이 있다. 한계 손홍록 묘는 가장 위쪽에 있다.

[변천]

한계 손홍록 묘는 1961년 비석을 건립하였고, 1988년 손홍록 아내의 무덤을 이장하여 합장하였다.

[형태]

한계 손홍록 묘는 화강암을 사각형으로 잘라 쌓아 올려 평탄하게 만든 평지 위에 조성되어 있다. 묘소 앞에는 상석과 비석, 1쌍의 망부석이 있다. 비석은 1단의 사각형 화강암 기단 위에 비신을 올리고, 지붕 모양의 뚜껑돌을 올렸다. 봉분은 높이 100㎝, 지름 452㎝, 둘레 1,420㎝이다. 비석은 너비 41㎝, 높이 113㎝, 두께 19㎝이다. 봉분은 화강암에 동물 모양을 새긴 호석이 둘러져 있다.

[금석문]

한계 손홍록 묘 상석의 정면에는 ‘한계 밀양 손공홍록지묘(寒溪 密陽 孫公弘綠之墓) 배 의인 영광 정씨 합부해좌(配 宜人 靈光 丁氏 合祔亥坐)’라고 쓰여 있고, 좌측면에는 ‘배정씨 전묘재칠보불무동갑좌 일구팔팔년구월육일합폄 십사대손주항 십오대손문국 근립(配 丁氏 前墓在七寶佛舞洞甲坐 一九八八年九月六日合窆 十四代孫周恒 十五代孫文國 謹立)’이라 쓰여 있다. 비석의 정면에는 ‘한계 손선생홍록지묘(寒溪 孫先生弘綠之墓)’라고 쓰여 있으며, 비문은 1961년 1월 방손(傍孫) 손성철(孫聖徹)이 글을 지었다. 임실 종중에서 비석을 세웠다.

[현황]

한계 손홍록 묘는 재실이 갖추어져 있으며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손홍록의 재실인 충의재는 시멘트 벽돌을 쌓아 만든 담장이 둘러져 있고 남동쪽에 1간의 출입문이 있다. 출입문을 들어가면 본채가 있다. 본채는 정면 3칸, 측면 2칸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중앙칸 위에는 손하주(孫夏周)가 쓴 ‘충의재(忠義齋)’ 현판이 있다. 중앙칸은 대청, 좌우 1칸씩은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현판은 없다. 재실의 동쪽에 관리사가 있다.

[의의와 평가]

한계 손홍록 묘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조실록』 보존에 기여한 손홍록의 공을 살필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