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577 |
---|---|
한자 | 張寬 開國原從功臣錄券 |
영어공식명칭 |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Issued to Jang Gwa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영준 |
발급 시기/일시 | 1395년![]()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1년 7월 15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보물로 변경 지정 |
소장처 |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 |
성격 | 고문서 |
관련 인물 | 장관 |
발급자 | 이성계 |
수급자 | 장관 |
문화재 지정 번호 | 보물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장관에게 발급한 공신녹권.
[개설]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張寬 開國原從功臣錄券)은 조선 태조 대에 장관에게 발급된 공신녹권이다. 1981년 7월 15일 보물 제72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보물로 변경되었다.
[제작 발급 경위]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은 1395년(태조 4) 창산군(軍昌山) 장관(張寬)에게 내려진 개국원종공신녹권(開國原從功臣錄券)이다.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은 1395년 ‘전봉익대부밀직사사상호군창산군장관(前奉翊大夫密直司事上護軍昌山君張寬)’에게 사급(賜給)된 것이다. 이성계는 1392년 8월 공신도감(功臣都監)을 설치하고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봉하고, 이어 원종공신을 포상하였다. 원종공신은 개국공신에는 들지 못하였으나 그다음 급에 속하는 사람들로 1392년 10월부터 1397년(태조 6) 12월까지 10여 차례에 걸쳐 약 1,200명에게 내렸다. 이때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이 내려졌다.
[형태]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은 세로 34㎝, 가로 67.6㎝의 저지(楮紙)에 쓴 것이다. 1행 17자이다. 본문은 공신의 공로 사례(功勞 事例)를 열거하고, 공신의 직명단자(職名單子)·특전(特典)·도감관여자(都監關與者)의 직함(職銜) 및 수결(手決)이 있다. 그리고 본문 머리와 접지(接紙) 부분 9곳에 이조지인(吏曹之印)이 찍혀 있다.
[구성/내용]
녹권은 내용상 세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는 발급관 서명·수취자·발급의 목적이 기재되고, 둘째는 본문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녹권을 발급하게 된 관련 근거가 제시되며, 셋째는 시행 일자와 발급에 관여한 관원들이 기재되어 있다. 장관 녹권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1행에서 4행까지는 녹권발급관서·공신호(功臣號)·관함(官銜)·수취자의 성명·봉군호(封君號) 순으로 기재하고 있다. 5항에서 107항까지는 1393년(태조 2) 10월 9일부터 1395년(태조 4) 2월 9일까지 10회에 걸친 장문(長文)의 포상(褒賞) 하명기(下命記)가 실려 있다. 108항부터 124항까지는 왕지(王旨)에 따라 공적 내용을 심의함을 전제하고, 뒤에 보이는 전체 대상인에 대한 종합적인 공적 내용을 일곱 개 항목으로 나열하였다. 124항부터 191항까지는 원종공신 226명의 관직과 성명을 등재하였으며, 192항부터 206항까지는 상전의 내용과 녹권을 시행한 담당자가 기재되어 있다. 207항에서 마지막 234항에 걸쳐 시행 일자와 발급에 관여한 관원들의 관직과 성명을 기재하였다.
[의의와 평가]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은 조선 개국 당시의 공신 전기 자료일 뿐만 아니라 조선 전기의 녹권 문서와 관제(官制) 및 이두 문자 등을 연구하는 데 소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