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회련 고신왕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78
한자 金懷鍊 告身王旨
영어공식명칭 Royal Edict of Appointment Issued to Kim Hoe-ryeo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문헌/문서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370-12[부전동 1009]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영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급 시기/일시 1395년연표보기 - 김회련 고신왕지 통정대부 사령서 발급
발급 시기/일시 1396년연표보기 - 김회련 고신왕지 가선대부 사령서 발급
문화재 지정 일시 1966년 2월 28일연표보기 - 이태조4년 및 6년왕지 보물 제438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9년연표보기 - 이태조4년 및 6년왕지에서 김회련 고신왕지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김회련 고신왕지 보물로 변경 지정
소장처 정읍시립박물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370-12[부전동 1009]지도보기
성격 고문서|교지
관련 인물 김회련
발급자 이방원
수급자 김회련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부전동 정읍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 김회련이 관직을 임명받은 사령서.

[개설]

김회련 고신왕지(金懷鍊 告身王旨)는 이성계가 개국에 공을 세운 김회련을 통정대부 공주목사(公州牧使) 겸 관내권농방어사(管內勸農防禦使)로 임명한 사령왕지(辭令王旨) 1매와 가선대부 해주목사(海州牧使) 겸 권농병마단련사(勸農兵馬團鍊使) 염장관(鹽場官)으로 임명한 왕지 1매 등 2점이다. 1966년 2월 28일 ‘이태조4년 및 6년왕지’라는 명칭으로 보물 제438호로 지정되었고 2009년 ‘김회련 고신왕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보물로 변경되었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도봉사 내의 연시각에 보관 중이었다가 2013년 정읍시립박물관에 옮겨 보관하고 있다.

[제작 발급 경위]

김회련은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할 때 조선 개국에 공을 세운 인물로 조선 건국 직후 검교한성윤(檢校漢城尹)에 임명되었다. 이후 이성계가 개국 공신의 범위를 넓히고자 개국원종공신을 책봉할 때 뽑혀 1395년(태조 4) 공신녹권을 받은 바 있다. 김회련 고신왕지는 공신녹권과는 별도로 당시 공주목사 겸 권농방어사의 관직에 임명하기 위하여 발급된 사령왕지, 그리고 2년 후인 1397년 해주목사 겸 권농병마단련사 염장관에 임명하면서 내린 왕지를 말한다.

[형태]

왕지는 1435년(세종 17)까지만 쓰인 명칭이며, 이후 교지(敎旨)라는 용어로 바뀌었다. 첫 행에 왕지라고 쓰여져 있으나, 관직 임명뿐 아니라 시호를 내려줄 때와 노비나 전지(田地) 등을 하사할 때 작성한 문서에도 왕지라 쓰여 있으므로, 여러 유형의 왕지 중 관직을 임명하는 ‘고신’의 내용을 담은 왕지라는 뜻에서 ‘고신왕지’로 지칭하고 있다. 문서 크기는 세로 59.5㎝, 가로 58㎝이다.

1395년 왕지는 정서에 가까운 행서로 쓰여져 있고, 1397년의 왕지는 초서로 쓰여져 있다. 두 문서 모두 보인으로 ‘조선왕보(朝鮮王寶)’를 찍었다. 조선왕보는 태조·정종 대에 쓰이다가 태종 대에는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으로 바뀌었고, 『경국대전(經國大典)』 전후부터는 ‘시명지보(施命之寶)’로 바뀌었다. 문서 크기는 세로 67㎝, 가로 63.5㎝이다.

[구성/내용]

1395년 고신왕지는 4행으로 ‘회련위통정대부공주목사겸관내권농방어사자 홍무이십팔년이월초이일(懷鍊爲通政大夫公州牧使兼管內勸農防禦使者 洪武二十八年二月初二日)’이라고 행서로 쓰여 있다. 김회련을 통정대부 공주목사 겸 권농방어사에 임명한다는 내용이다. 1397년 고신왕지는 5행으로 ‘김회련위가선대부해주목사겸권농병마단련사염장관자 홍무참겁년정월이십칠일(金懷鍊爲嘉善大夫海州牧使兼勸農兵馬團鍊使鹽場官者 洪武參拾年正月二十七日)’이라고 초서로 쓰여 있다. 김회련을 가선대부 해주목사 겸 권농병마단련사 염장관으로 임명한다는 내용이다. 통정대부는 정3품 문산계이고, 가선대부는 종2품 문산계에 해당한다. 병마단련사는 정3품 무관 벼슬로 1467년(세조 12) 병마동첨절제사(兵馬同僉節制使)로 바뀌었다.

[의의와 평가]

김회련 고신왕지는 조선 전기 고신의 양식과 초기 관직 체계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