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10 |
---|---|
한자 | 宋益孫 |
영어공식명칭 | Song Ikson |
이칭/별칭 | 익지(益之),양묵(襄墨)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송만오 |
출생 시기/일시 | 1419년![]()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453년 - 송익손 정난공신 3등 녹훈 |
활동 시기/일시 | 1455년 - 송익손 선공감판감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456년 - 송익손 선공감부정·전농시소윤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461년 - 송익손 중추부첨지사 제수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463년 - 송익손 여산군 책봉 |
활동 시기/일시 | 1463년 - 송익손 나주목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474년 - 송익손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 |
몰년 시기/일시 | 1482년![]() |
출생지 | 고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 |
거주|이주지 | 고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
부임|활동지 | 나주 - 전라남도 나주시 |
성격 | 무신 |
성별 | 남성 |
본관 | 여산 |
대표 관직 | 나주목사 |
[정의]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무신.
[가계]
송익손(宋益孫)[1419~1482]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익지(益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공조전서 송희(宋禧)이고, 할아버지는 송계양(宋繼陽)이다. 아버지는 송경(宋瓊)이고, 아들은 송련(宋璉)·송호(宋瑚)·송류(宋瑠)이다.
[활동 사항]
송익손은 1419년(세종 1) 고부(古阜)[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서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였다.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처남 홍달손(洪達孫)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 편에 가담하여 정난공신 3등에 녹훈되었다. 1455년 선공감판관을 거쳐 1456년(세조 1) 선공감부정·전농시소윤을 역임하였고, 1461년 중추부첨지사에 제수되었다. 1463년 가선대부 여산군(礪山君)에 책봉되었고, 고향에 거주하고 있던 부모의 병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고부와 가까운 나주(羅州)의 목사로 부임하였다.
1464년 나주목사 재임 중에는 임양무(林陽茂)·이장수(李長守)·박영문(朴英文) 등이 작당하여 송익손이 역모를 꾀한다고 고변하였는데, 이후 무고임이 밝혀져 임양무는 처형되고 이장수와 박영문 등은 중형을 받는 일도 있었다. 송익손은 1474년(성종 9) 부호군(副護軍)에 임명되었으나 소유하고 있던 노비가 문제가 되어 벼슬에서 물러난 뒤 낙향하였고, 1482년에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송익손은 사망한 뒤 양묵(襄墨)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으며, 부조전(不祧典)[나라에 공이 있는 사람의 위패를 모시게 하는 것]을 하사받고 부조묘가 건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