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11 |
---|---|
한자 | 宋演孫 |
영어공식명칭 | Song Yeonson |
이칭/별칭 | 선원(善源)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송만오 |
출생 시기/일시 | 1460년![]() |
---|---|
활동 시기/일시 | 1486년 - 송연손 진사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508년 - 송연손 한산군수 부임 |
몰년 시기/일시 | 1508년![]() |
출생지 | 고현내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 |
부임|활동지 | 곡성 - 전라남도 곡성군 |
부임|활동지 | 용당 -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
묘소|단소 | 송연손 묘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산28
![]()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여산 |
대표 관직 | 곡성현감|군자감주부|공조좌랑|용당현령 |
[정의]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문신.
[가계]
송연손(宋演孫)[1460~1508]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선원(善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희(宋禧)이고, 할아버지는 송계성(宋繼性), 아버지는 송복리(宋復利)이다. 부인은 김보칠(金甫漆)의 딸 부안 김씨(扶安 金氏)이고, 아들은 송세림(宋世琳)·송세형(宋世珩)이다.
[활동 사항]
송연손은 1460년(세조 5) 고현내면(古縣內面)[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일대]에서 태어났다. 1486년(성종 17) 진사시에 합격한 뒤 음직(陰職)으로 관직에 진출하였다. 이후 제용감주부를 거쳐 곡성현감(谷城縣監)·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공조좌랑(工曹佐郞)·용당현령(龍潭縣令) 등을 역임하였고,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에 가담한 공으로 정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1507년 첨지중추부사에 올랐으며, 1508년 충청도 한산군수(閑山郡守)로 부임하였으나 한 달 만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송연손은 문장과 서화에 능하였다는 평을 받고 있으며, 저술로는 「호남별곡(湖南別曲)」 10장(章)이 전한다.
[묘소]
송연손의 묘소는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산 28에 있다.
[상훈과 추모]
송연손은 사망한 뒤에 가의대부 이조판서 겸 동지의금부사에 추증되었고, 지금의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44-12[무성리 500]에 있는 무성서원(武城書院)에 아들 송세림과 함께 배향되었다. 1545년(인종 1)에는 순충보조공신(純忠補祚功臣) 여원군(礪原君)으로 추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