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축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19
한자 李大畜
영어공식명칭 Yi Daechuk
이칭/별칭 대현(大顯),문재(文齋)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순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55년연표보기 - 이대축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이대축 무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96년 - 이대축 훈련원첨정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97년 - 이대축 훈련원부정 제수
몰년 시기/일시 1597년연표보기 - 이대축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05년 - 이대축 선무원종공신 녹훈
출생지 소성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지도보기
성격 무신
성별 남성
본관 고부
대표 관직 훈련원부정

[정의]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무신.

[가계]

이대축(李大畜)[1555~1597]의 본관은 고부(古阜)이며, 자는 대현(大顯), 호는 문재(文齋)이다. 고부 이씨 감사공파(監士公派) 파조인 이형즙(李亨楫)의 후손이다.

[활동 사항]

이대축은 1555년(명종 10)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에서 태어났다. 1592년(선조 25)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주부에 제수되었고, 평양성 전투에 참전하였다. 1596년 훈련원첨정이 되었고,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고부군수 구덕령(具德齡)과 함께 수군을 이끌고 이순신(李舜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대축은 이후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워 훈련원부정으로 승진하였으나 왜군과의 전투 중 전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이대축은 1605년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