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22 |
---|---|
한자 | 金後進 |
영어공식명칭 | Gim Hujin |
이칭/별칭 | 비승(丕承),원모당(遠慕堂),사재(思齋),연담(蓮潭)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송만오 |
출생 시기/일시 | 1540년![]() |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김후진 이귀 의진 후원 |
활동 시기/일시 | 1593년 - 김후진 수백 석 곡식을 의주 행재소와 고경명 의진에 보냄 |
몰년 시기/일시 | 1620년![]() |
출생지 | 김후진 출생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 |
거주|이주지 | 김후진 거주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
묘소|단소 | 김후진 묘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 |
사당|배향지 | 남천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남전길 34-13[시산리 844]![]() |
사당|배향지 | 오산창의사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모현1길 70-7[모현리 302-1] |
성격 | 학자 |
성별 | 남성 |
본관 | 도강 |
[정의]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학자.
[가계]
김후진(金後進)[1540~1620]의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자는 비승(丕承), 호는 원모당(遠慕堂)·사재(思齋)·연담(蓮潭)이다. 할아버지는 김희열(金希說)이고, 아버지는 김약우(金若愚)이다. 아들은 김지백(金知白)·김취백(金就白)·김장백(金長白)·김여백(金汝白)이다.
[활동 사항]
김후진은 1540년(중종 35)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에서 태어났다. 이항(李恒)[1499~1576]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천성이 선하여 주변의 가난한 사람을 보면 결코 지나치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흉년이 들어 굶주리는 백성이 늘어나자 김후진은 들판에 가마솥을 걸고 밥을 지어 지나가는 사람들로 하여금 허기를 달래도록 하였다. 김후진이 솥을 걸었던 밭을 사람들은 ‘부전(釜田)’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을 모아 장성에서 의병을 일으킨 이귀(李貴)를 후원하였다. 1593년에는 수백 석의 곡식을 선조(宣祖)가 피신하여 있던 의주 행재소(幸在所)와 고경명(高敬命)의 의진에 보냈으며, 수천 근의 솜으로 옷을 지어 명나라 군진에 보내기도 하였다. 조정에서 이러한 행적을 가상히 여겨 김후진에게 군자감직장을 제수하였으나 응하지 않았다. 1620년(광해군 12) 사망하였다.
[묘소]
김후진의 묘소는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김후진은 사망한 뒤 호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지금의 정읍시 칠보면 남전길 34-13[시산리 844]에 있는 남천사(藍川祠)와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모현1길 70-7[모현리 302-1]에 있는 오산창의사(鰲山倡義祠)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