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24
한자 宋世琳
영어공식명칭 Song Serim
이칭/별칭 헌중(獻仲),눌암(訥庵),취은(醉隱)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동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479년연표보기 - 송세림 출생
활동 시기/일시 1498년 - 송세림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02년 - 송세림 알성시 문과 장원급제
활동 시기/일시 1516년 - 송세림 능성현령 역임
몰년 시기/일시 1519년연표보기 - 송세림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30년 - 송세림 정읍 무성서원 배향
출생지 송세림 출생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송세림 거주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묘소|단소 송세림 묘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무성서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44-12[무성리 500]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여산
대표 관직|경력 능성현령

[정의]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문신.

[가계]

송세림(宋世琳)[1479~1519]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헌중(獻仲), 호는 눌암(訥庵)·취은(醉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계성(宋繼性)이고, 할아버지는 송복리(宋復利)이다. 아버지는 한산군수 송연손(宋演孫)이고, 어머니는 김보칠(金甫漆)의 딸 부안 김씨(扶安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우승지 강삼(姜參)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조온(趙溫)의 딸 순창 조씨(淳昌 趙氏)이다. 아들은 송성(宋星)이고, 동생은 이조판서를 지낸 송세형(宋世珩)이다.

[활동 사항]

송세림은 1479년(성종 10)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에서 태어났다. 1498년(연산군 4)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502년 알성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1503년 이조좌랑에 임용되었으나 벼슬길에 나선 지 얼마 안 되어 어머니와 아버지가 연이어 사망하여 6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이로 인하여 고질병을 얻어 호를 ‘눌암’이라고 하였다고 하며, 또 시묘살이를 하느라 갑자사화를 면하였다 하여 호를 ‘취은’이라 하였다고 한다.

송세림은 1516년(중종 11) 능성현령(綾城縣令)으로 있을 때에는 상소를 올려 방납의 폐단, 출판으로 인한 과중한 잡세, 군액 충당을 위하여 중[僧]을 일반 백성으로 환속시키는 일과 사찰 소각, 역참의 말을 길러 공용에 이용하는 것의 폐단을 개선하도록 건의하였다. 송세림은 병으로 벼슬에서 물러난 뒤 1519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송세림의 저술로는 『어면순(禦眠楯)』 2책이 있다. 『어면순』의 서문은 동생 송세형이, 발문은 정사룡(鄭士龍)이 썼다. 『어면순』 표제는 ‘잠을 막아 주는 방패’라는 뜻이다. 『어면순』은 태인에 낙향하여 들은 이야기들을 모아 놓았으며, 이야기 대부분이 음담패설에 속하는 것들이다. 정사룡은 발문에서 “이 책이 유희에서 나왔지만 타일러 깨우쳐 주는 것이 실로 그 안에 담겨 있다”라고 하였다.

[묘소]

송세림의 묘소는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송세림은 아버지 송연손과 함께 중종 대 정국원종공신에 책봉되었고, 지금의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44-12[무성리 500]에 있는 무성서원(武城書院)에 배향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