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29 |
---|---|
한자 | 金福億 |
영어공식명칭 | Gim Bokeok |
이칭/별칭 | 백선(伯善),율정(栗亭),사우당(四優堂)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류호석 |
출생 시기/일시 | 1524년![]() |
---|---|
활동 시기/일시 | 1569년 - 김복억 효행으로 천거되어 목청참봉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73년 - 김복억 진사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김복억 의병 활동 지원 |
활동 시기/일시 | 1593년 - 김복억 홍주목사 부임 |
몰년 시기/일시 | 1600년![]() |
추모 시기/일시 | 1927년 - 김복억 남고서원 배향 |
출생지 | 칠보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 |
사당|배향지 | 남고서원(南皐書院)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보림1길 392[보림리 880-1]![]()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도강 |
대표 관직|경력 | 홍주목사 |
[정의]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문신.
[가계]
김복억(金福億)[1524~1600]의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자는 백선(伯善), 호는 율정(栗亭)·사우당(四優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윤손(金潤孫)이고, 할아버지는 김희석(金希奭)이다. 아버지는 양주목사 김약묵(金若黙)이고, 어머니는 윤원(尹源)의 딸 여주 윤씨(驪州 尹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한석년(韓錫年)의 딸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이공량(李公亮)의 딸 전의 이씨(全義 李氏), 세 번째 부인은 강성원(姜聖元)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동생은 김경억(金慶億)이고, 사위는 김정일(金鼎一)이다.
[활동 사항]
김복억은 1524년(중종 19)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에서 태어나 이항(李恒)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69년(선조 2) 효행으로 천거되어 목청참봉이 되었다가 경기전참봉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정철(鄭澈)·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하였다. 1573년 진사시에 합격한 뒤 회덕현감·사옹원판관·창평현령·김제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관직에서 물러난 뒤 도강 김씨 친족들과 함께 의병과 군량을 모아 진중으로 보냈으며, 1593년에는 홍주목사로 부임하였다. 김복억은 이천부사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1600년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김복억은 1927년 지금의 정읍시 북면 보림1길 392[보림리 880-1]에 있는 남고서원(南皐書院)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