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40
한자 李植
영어공식명칭 Lee Sik
이칭/별칭 여고(汝固),택당(澤堂),남궁외사(南宮外史),택구거사(澤癯居士),문정(文靖)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송만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84년연표보기 - 이식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10년 - 이식 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13년 - 이식 세자시강원설서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23년 - 이식 이조좌랑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25년 - 이식 우참찬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26년 - 이식 좌부승지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36년 - 이식 대제학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44년 - 이식 이조판서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46년 - 이식 삭탈관작
몰년 시기/일시 1647년연표보기 - 이식 사망
출생지 남소문동 - 서울특별시 중구 상림동·장충동 일대
거주|이주지 정우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지도보기
묘소|단소 이식 묘소 -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쌍학리 산9-1
사당|배향지 기천서원 -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뒷머리길 11[이포리 259-3]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덕수
대표 관직 대제학|이조판서

[정의]

조선 후기 정읍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가계]

이식(李植)[1584~1647]의 본관은 덕수(德水)이며, 자는 여고(汝固), 호는 택당(澤堂)·남궁외사(南宮外史)·택구거사(澤癯居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중추부도사 이원상(李元祥)이고, 할아버지는 이섭(李涉)이다. 아버지는 안기도찰방 이안성(李安性)이고, 어머니는 공조참판 윤옥(尹玉)의 딸 무송 윤씨(茂松 尹氏)이다. 부인은 심엄(沈㤿)의 딸 청송 심씨(靑松 沈氏)이고, 아들은 이면하(李冕夏)·이신하(李紳夏)·이단하(李端夏)이다.

[활동 사항]

이식은 1584년(선조 17) 한성부 남소문동[현 서울특별시 중구 상림동·장충동 일대]에서 태어났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난(亂)을 피하여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으로 옮겨 와 살게 되었다. 이식은 태어날 때부터 몸이 약하여 열두 살이 되어서야 글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1596년에는 외가가 있던 여강(驪江)[현 경기도 여주군]으로 이주하였다.

이식은 1610년(광해군 2) 생원시를 거쳐 별시 문과에 급제한 뒤 권지성균관학유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1613년 세자시강원설서에 제수되어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북평사와 선전관을 지냈으나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 논의가 일어나자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하였다.

이식은 병조좌랑·영변부판관·별지제교·승문원제술관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이조좌랑으로 관직에 복귀하였다. 1625년(인조 3) 예조참의·동부승지·우참찬 등을 역임하였고, 1626년에는 대사간·대사성을 거쳐 좌부승지가 되었다. 이후 인조의 노여움을 사 간성현감으로 좌천되기도 하였으며, 1633년 부제학을 거쳐 1636년에 대제학이 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인조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으로 들어갔으며, 청과의 굴욕적인 화의에 반대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642년 청나라를 배척하였다는 죄명으로 김상헌(金尙憲) 등과 함께 중국의 심양(瀋陽)으로 끌려가 고초를 겪기도 하였다. 이식은 귀국한 뒤 1643년 대사헌과 형조판서를 역임하였고, 1644년에는 이조판서가 되었다. 1646년 별시관(別試官)으로서 출제한 과거 시험 문제에 역모의 뜻이 담겨 있다는 탄핵을 받아 관작을 삭탈당하고 낙향하여 대기하다가 1647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식의 저술로는 문집인 『택당집(澤堂集)』 34권 17책과 『초학실훈증집(初學實訓增集)』, 『두시비해(杜詩批解)』 등이 전한다. 이식은 모든 유형의 한시에 뛰어났으며, 장유(張維)와 함께 조선을 대표하는 문장가 중 한 사람으로 손꼽힌다.

[묘소]

이식의 묘소는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쌍학리 산9-1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식은 1686년(숙종 12)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정(文靖)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으며, 지금의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뒷머리길 11[이포리 259-3]에 있는 기천서원(沂川書院)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