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42 |
---|---|
한자 | 金道彦 |
영어공식명칭 | Gim Doeon |
이칭/별칭 | 여유(汝由),운계(雲溪),운산(雲山)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송만오 |
출생 시기/일시 | 1684년![]() |
---|---|
활동 시기/일시 | 1711년 - 김도언 진사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719년 - 김도언 증광시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728년 3월 - 김도언 이인좌의 난 토벌에 참여 |
활동 시기/일시 | 1728년 10월 - 김도언 음죽현감 임명 |
몰년 시기/일시 | 1735년![]() |
출생지 | 태인 고현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 |
부임|활동지 | 음죽 - 경기도 이천시 |
묘소|단소 | 김도언 묘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비봉리
![]()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도강 |
대표 관직 | 의금부도사|음죽현감 |
[정의]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문신.
[가계]
김도언(金道彦)[1684~1735]의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자는 여유(汝由), 호는 운계(雲溪)·운산(雲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계종(金繼宗)이고, 할아버지는 김휘정(金輝挺)이다. 아버지는 예조좌랑 김만형(金萬衡)이고, 어머니는 조석령(趙錫齡)의 딸 배천 조씨(白川趙氏)이다.
[활동 사항]
김도언은 1684년(숙종 10) 태인 고현내[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에서 태어났다. 1711년(숙종 37)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719년 증광시 문과에 급제한 뒤 병조좌랑·춘추관기사관·의금부도사 등을 역임하고 1728년(영조 4) 10월 음죽현감으로 부임하였다.
김도언은 의금부도사로 재직 중이던 1728년 3월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종사관으로 참전하여 합천(陜川)에서 반란군을 진압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이후 분무원종공신에 녹훈되고 영조(英祖)로부터 비단으로 만든 주머니와 토시, 그리고 ‘강령경복 만년무강(康寧慶福 萬年無疆)’이라고 쓰여 있는 영조의 친필을 하사받았다. 김도언은 1735년에 사망하였다.
[묘소]
김도언의 묘소는 정읍시 옹동면 비봉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영조의 어필, 어사화, 공신녹권 등 김도언의 유물은 1992년 6월 20일 ‘의금부도사김도언유물’이라는 명칭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