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45 |
---|---|
한자 | 權克中 |
영어공식명칭 | Gwon Geukjung |
이칭/별칭 | 정지(正之),청하(靑霞)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송만오 |
출생 시기/일시 | 1585년![]() |
---|---|
활동 시기/일시 | 1612년 - 권극중 진사시 합격 |
몰년 시기/일시 | 1659년![]() |
출생지 | 서산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팔선리 서산마을![]() |
성격 | 학자 |
성별 | 남성 |
본관 | 안동 |
[정의]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학자.
[가계]
권극중(權克中)[1585~16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정지(正之), 호는 청하(靑霞)이다. 아버지는 권준(權俊)이다.
[활동 사항]
권극중은 1585년(선조 18) 고부군 답내면 서산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팔선리 서산마을]에서 태어났다. 1597년 무렵부터 최명룡(崔命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600년에는 최명룡의 스승인 김장생(金長生)에게서 가르침을 받기도 하였다. 당시 동문수학하던 유집(柳輯)·김동준(金東準) 등과 교분을 맺고 평생토록 가깝게 지냈다.
권극중은 1612년(광해군 4) 진사시에 합격한 뒤 성균관에 입학하여 공부하였으나,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론이 제기되자 모든 것을 내려놓고 낙향하였다. 이후 1618년 인목대비가 폐출되자 크게 낙담하여 은둔자처럼 지내며 학문에 전념하였다. 권극중은 정두경(鄭斗卿)·이식(李植)·임전(任錪) 등 성리학자이자 도학에 정통한 이들과 학문적으로 교유하였고, 1659년(효종 10)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권극중의 저술로는 『청하집(靑霞集)』, 『역대사요(歷代史要)』, 『비요복서결(備要卜筮訣)』, 『참동계주해(參同契註解)』 등이 있다. 특히 『참동계주해』는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에 대한 주석서로서, 조선 도교 사상을 대표할 만한 저서로 알려져 있다.
[상훈과 추모]
권극중은 1823년(순조 23)에 창건된 서산사(書山祠)에 배향되었다. 서산사는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고, 지금은 정읍시 이평면 서산길 38[팔선리 326]의 서산사 자리에 유허비가 건립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