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46
한자 崔瑞林
영어공식명칭 Choi Seorim
이칭/별칭 여발(汝發),관곡(寬谷)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송만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32년연표보기 - 최서림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62년 - 최서림 진사시 합격
몰년 시기/일시 1698년연표보기 - 최서림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01년 - 최서림 용계서원 배향
출생지 한성 - 서울특별시
거주|이주지 영광 - 전라남도 영광군
거주|이주지 고현내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용계서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동편길 41-3[시산리 688]지도보기
성격 학자
성별 남성
본관 진주

[정의]

조선 후기 정읍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가계]

최서림(崔瑞林)[1632~1698]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여발(汝發), 호는 관곡(寬谷)이다. 아버지는 최윤성(崔胤聖)이다.

[활동 사항]

최서림은 1632년(인조 10)에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1636년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부모를 따라 전라남도 영광(靈光)으로 피난하여 잠시 머물렀다. 얼마 후 영광에서 그리 멀지 않은 무안(務安)으로 옮겨 살다가, 1661년(현종 2) 태인(泰仁) 고현내면(古縣內面)[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일대]으로 이주하였다.

최서림은 1662년(현종 3) 진사시에 합격하였지만 벼슬을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하기로 마음먹었다. 이후 김집(金集)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고, 특히 정주학(程朱學)에 능통하다는 평을 받았다. 1694년(숙종 20)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태릉참봉(泰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1698년에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최서림이 남긴 시와 최서림 관련 일화가 이익(李瀷)이 저술한 『성호사설(星湖僿說)』「인사문(人事門)」 편에 실려 있다.

[상훈과 추모]

최서림은 1701년(숙종 27) 지금의 정읍시 칠보면 동편길 41-3[시산리 688]에 있는 용계서원(龍溪書院)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