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47 |
---|---|
한자 | 朴晩煥 |
영어공식명칭 | Bak Manhwan |
이칭/별칭 | 창암(蒼巖)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흑암동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송만오 |
출생 시기/일시 | 1849년![]() |
---|---|
활동 시기/일시 | 1886년 - 박만환 의금부도사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890년 - 박만환 삼례도찰방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890년 - 박만환 낙향 |
활동 시기/일시 | 1903년 - 박만환 영주정사 건립 |
몰년 시기/일시 | 1926년![]() |
출생지 | 현암마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흑암동 현암마을![]() |
거주|이주지 | 현암마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흑암동 현암마을 |
수학|강학지 | 아산 - 충청남도 아산시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밀성(密城) |
대표 관직|경력 | 의금부도사|삼례도찰방 |
[정의]
개항기 정읍 출신의 문신.
[가계]
박만환(朴晩煥)[1849~1926]의 본관은 밀성(密城)이며, 호는 창암(蒼巖)이다. 아버지는 박원휴(朴源休)이고, 어머니는 평택 임씨(平澤 林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김석두(金錫斗)의 딸 부안 김씨(扶安 金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울산 김씨(蔚山 金氏)이다. 아들은 박찬규(朴贊奎)·박승규(朴升圭)이다.
[활동 사항]
박만환은 1849년(헌종 15)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흑암동의 현암마을에서 태어났다. 1867년(고종 4) 충청도 아산에 있는 임헌회(任憲晦)의 문하에 들어가 송병선(宋秉璿)·송병순(宋秉珣)·전우(田愚) 등과 함께 수학하였다. 이후 성균관에 입학하여 학문을 익혔다. 1886년(고종 23)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고, 1890년 삼례도찰방으로 부임하였다. 이후 영광군수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고 낙향하였다.
고향으로 돌아온 박만환은 학문에 전념하며 후진 양성에 힘을 쏟았다. 당시 고부군수이던 조병갑(趙秉甲)이 학정을 일삼자 1893년 조병갑의 파직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1903년에는 사비를 들여 학숙인 영주정사(瀛州精舍)를 건립하였다. 이후 매년 300석을 출연하여 학생들의 숙식과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지필묵을 후원하였다.
박만환은 국권 회복에도 힘을 쏟아 비밀리에 동학혁명군에게 자금을 지원하였으며, 1906년 최익현(崔益鉉)이 정읍 무성서원에 모여 창의를 선포할 때에도 상당량의 군자금을 지원하였다. 1919년에는 중국 망명을 추진 중이던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에게 5,000원이라는 거금을 전달하기도 하였다. 박만환은 1926년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