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743 |
---|---|
한자 | 殷熙珍 |
영어공식명칭 | Eun Huijin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후지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신은주 |
출생 시기/일시 | 1947년![]() |
---|---|
활동 시기/일시 | 1965년 - 은희진 충효민속예술단 입단 |
활동 시기/일시 | 1977년 - 은희진 국립창극단 입단 |
활동 시기/일시 | 1979년 - 은희진 남원 춘향제 전국명창대회 대상 수상 |
활동 시기/일시 | 1988년 - 은희진 전주대사습놀이 전국 대회 대상 수상 |
활동 시기/일시 | 1996년 - 은희진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가」 전수교육조교로 인정 |
활동 시기/일시 | 1997년 - 은희진 전북도립국악원 예술감독 재직 |
몰년 시기/일시 | 2000년 9월![]() |
출생지 | 후지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후지리
![]() |
성격 | 국악인 |
성별 | 남 |
본관 | 행주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출신의 국악인.
[활동 사항]
은희진(殷熙珍)[1947~2000]의 본관은 행주(幸州)이며, 1947년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후지리에서 태어났다. 오천수에게 「명기명창」 등의 단가와 「춘향가」·「흥보가」·「수궁가」 등 눈대목을 배웠으며, 박봉술에게 「적벽가」를, 성우향에게 「춘향가」를, 조상현에게 「심청가」를, 오정숙에게 「흥보가」와 「수궁가」 등을 전수받았다. 다양한 유파의 소리를 배웠으나 주로 동초제 판소리로 활동하였다.
은희진은 1965년 충효민속예술단의 단원이 되어 공연 활동을 시작하였고, 1968년부터 1973년까지 정읍국악원 강사로 재직하였다. 1977년에 국립창극단에 입단하여 창극 「춘향가」의 이도령 역, 「흥보가」의 흥보 역, 「적벽가」의 공명 역 등 주연을 여러 차례 맡았고, 「녹두장군」·「명창 임방울」 등 창작 창극에도 출연하였다. 1985년 「춘향가」, 1986년 「심청가」, 1989년 「수궁가」, 1999년 「춘향가」 완창 발표회를 열며 남자 명창으로 소리판에서 인정을 받았다.
은희진은 한국국악협회 국극분과위원장과 한국판소리보존회 이사 등을 역임하였고, 1996년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가」 전수교육조교로 인정되었다. 은희진은 전북도립국악원 예술감독으로 재직 중이던 1997년 지병이 악화되어 투병하다가 2000년 9월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은희진이 사망한 뒤 총 5장으로 구성된 「은희진 춘향가」가 2000년 서울음반에서 발매되었다.
[상훈과 추모]
은희진은 1979년 남원 춘향제 전국명창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였고, 1988년 전주대사습놀이 전국 대회에서 대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