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916
한자 新泰仁聖堂
영어공식명칭 Sintaein Catholic Church
이칭/별칭 신태인 천주교회,천주교 신태인교회
분야 종교/기독교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정신로 1196[신태인리 546-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병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29년 5월 2일연표보기 - 능교리성당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35년 - 능교리성당 전라북도 정읍군 산내면 능교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태창리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35년연표보기 - 능교리성당에서 태인성당으로 개칭
이전 시기/일시 1954년 - 태인성당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태창리에서 전라북도 신태인읍 신태인리 546-1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55년연표보기 - 태인성당에서 신태인성당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4년 - 신태인성당 『신태인 성당 75년사』 발간
최초 설립지 능교리성당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능교리 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태인성당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지도보기
현 소재지 신태인성당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정신로 1196[신태인리 546-1]지도보기
성격 성당
전화 063-571-8201[사무실]|063-571-8202[사제관]|063-571-8203[수녀원]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신태인리에 있는 천주교 전주교구 소속 성당.

[개설]

신태인성당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태인면, 감곡면, 이평면, 정우면, 옹동면 일부를 담당하고 있는 천주교성당이다.

[설립 목적]

신태인성당신태인읍을 중심으로 천주교 신자들의 신앙 생활을 이끌고 주위에 천주교 교리를 전파하며, 지역 공동체 발전 및 지역 주민의 행복 추구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신태인성당의 모체는 산내면 능교리성당이다. 조선 말 천주교 박해 시대 이후 정읍군 산내면과 순창군 쌍치면을 중심으로 천주교 신자가 대거 모여 살았는데, 1929년 산내면과 쌍치면 지역에 본당을 설립하고자 김창현[바오로] 신부를 파견하였다. 김창현 신부는 쌍치면 오룡촌과 정읍군 산내면 능교리를 저울질한 끝에 능교리에 본당을 설립하기로 결정하였다. 1929년 5월 2일 능교리성당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이내 교세가 기울자 김창현 신부는 본당을 태인으로 옮기기로 하고, 전도사도 파견하고 학교를 열어 직접 한글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1933년 제주도로 발령이 나고 새로 부임한 허일록[다테오] 신부가 태인성당 이전을 실현하였다.

허일록 신부는 1935년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태창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에 성당과 사제관을 건축하고 태인 본당 시대를 열었다. 1947년 부임한 김영일[아우구스티노] 신부는 성당 대지를 확장하여 본당 발전의 전기를 마련하였으나,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나 중단되었다. 1954년 부임한 이대권[바오로] 신부는 새롭게 성장하고 있던 신태인읍으로 본당을 옮겼다.

1955년 정읍시 신태인읍 정신로 1196[신태인리 546-1]에 임시 성당과 사제관을 짓고 지금의 신태인성당 시대를 시작하였다. 1974년 부임한 이상호[아우구스티노] 신부는 상신리공소와 구장리공소를 수류 본당에, 순창군 쌍치면 소재 오룡촌공소, 종암리공소, 내동공소, 삽실공소를 순창 본당에 각각 환원하였다. 1981년 부임한 성민호[야고보] 신부는 신용협동조합을 설립하여 신자들의 협동으로 자립을 도왔다. 2001년 부임한 김병환[사도요한] 신부는 태인공소에 주일 미사를 신설하고 예비자를 모집하는 등 활성화하였고, 2004년에는 『신태인성당 75년사』를 편찬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신태인성당은 본당 사목회가 회장단과 감사 외에 15개 분과로 나뉘어 활동하고 있다. 레지오마리애는 ‘원죄 없이 잉태되신 모후’ 꾸리아 산하에 10개 쁘레시디움 79명이 활동하고 있다. 그 외에 울뜨레아, 성심회, 성모회, 대건회, 애령회, 성가대, 학생회, 초중등 교리교사회 등이 있다.

본당 미사는 일요일 오전 6시 반과 10시 반, 월요일 오전 6시 반, 화요일·목요일·금요일 오후 7시, 수요일 오전 9시 반, 토요일 오전 9시 반과 오후 7시에 있다. 공소 미사는 태인공소에서 매월 셋째, 넷째 일요일 오전 8시 반과 첫 번째 수요일 오전 11시에 있고, 진흥공소에서 매월 둘째 주 금요일 오전 6시 반, 옥단공소에서 매월 세 번째 금요일 오전 6시 반에 있고, 신기공소에서 매월 네 번째 금요일 오후 7시에 있다. 특별 사업으로 매년 겨울 김장철에 지역의 어려운 이웃과 소록도에 김치를 나누어 주고 있다.

[현황]

2023년 현재 2022년 1월 부임한 송광섭[클레멘스] 신부가 사목하고 있다. 2023년 7월 현재 신태인성당의 사제는 1명이고 수도자는 2명이다. 공소는 4개, 신자 수는 436세대, 837명이다. 공소는 신기공소 20세대, 66명[남자 35명, 여자 31명], 태인공소 110세대, 184명[남자 83명, 여자 101명], 진흥공소 17세대, 37명[남자 12명, 여자 25명], 옥단공소 14세대, 41명[남자 20명, 여자 21명]이다.

[의의와 평가]

신태인성당산내면 일대 박해 시대 순교자 후손의 터전에서 출발하여 호남선 철도가 지나며 성장한 신태인읍으로 이동하면서 태인 지역의 천주교를 지켜 온 역사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