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927 |
---|---|
한자 | 川原第一敎會 |
이칭/별칭 | 천원교회,천원제일장로교회 |
분야 | 종교/기독교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동부길 8[천원리 164-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정화 |
설립 시기/일시 | 1904년![]()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70년 - 천원제일교회 예배당 신축[1970]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6년 - 천원제일교회 예배당 신축[1986]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 천원제일교회 예배당 신축[2010]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3년 - 천원제일교회 100주년 기념비 건립 |
최초 설립지 | 천원교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천원리 |
주소 변경 이력 | 천원제일교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동부길 8[천원리 164-1] |
현 소재지 | 천원제일교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동부길 8[천원리 164-1]![]() |
성격 | 교회 |
설립자 | 서영선|박창욱|박성숙|이공숙|김도흥|김윤구|김일언|조명선|송세문|허기서|김병원|양경현 |
전화 | 063-534-2111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천원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설립 목적]
천원제일교회는 해외 선교사의 파견과 함께 호남 지역의 선교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천원제일교회는 1904년 서영선(徐永先), 박창욱(朴昶旭), 박성숙(朴聖淑), 이공숙(李公淑), 김도흥(金道興), 김윤구(金允久), 김일언(金一彦), 조명선(趙明善), 송세문(宋世文), 허기서(許基瑞), 김병원(金炳元), 양경현(梁敬鉉) 등이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 L. B. 테이트(L. B. Tate)와 고부 출신 조사 최중진(崔重珍)의 전도를 받아 예배를 드리면서 천원교회로 시작되었다. 천원교회는 정읍 지역 초기 교회 중 하나이다. 교인 수가 점차 증가하자 14칸 규모의 예배당을 신축하고, 박창욱이 이끌었다. 1909년 서영선, 이공숙, 박창욱이 장로가 되었고, 당회가 조직되었다. 또 교회에서 천원학원을 설립, 운영하여 인근의 가난한 청소년들을 교육하였다.
1910년 정읍 지역 교회를 이끌었던 최중진이 장로교회를 떠나 자유교회를 설립하자, 최중진과 전북대리회 간의 갈등으로 인하여 천원교회 역시 위축되었다. 이후 1923년 미곡 상점을 운영하던 박영기(朴英基)가 천원교회 장로가 되었고, 박영기 장로 부부의 전도로 천원교회가 부흥되어 신도가 600여 명에 이르렀다.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나자 곧 입암면까지 공산군이 들이닥쳤고, 교회당을 압수당하였다. 당시 천원교회 전도사인 강태주를 비롯하여 장로 박영기와 박영기의 아들 박제양 등이 공산당에 잡혀 갔고, 박영기 장로와 강태주 전도사는 9월 28일 총살당하였다.
천원교회에서 천원제일교회로 개칭하였으며, 1970년 예배당을 신축하였고, 1986년 옛 예배당 옆에 새 건물을 지었다. 창립 105주년을 맞이하여 2010년 현재 예배당을 완공하고, 2011년 1월 26일 입당 예배를 드렸다. 교회 앞에는 오래된 종탑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현황]
2023년 현재 천원제일교회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이며, 박기석 목사를 중심으로 예배를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천원제일교회는 1904년 창립 이래 순교자 4명을 배출하는 등 지역 사회와 호흡하며 선교 2세기를 향하여 전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