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942
한자 圓佛敎 新泰仁敎堂
분야 종교/신종교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평화2길 20[신태인리 343-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40년 10월 - 원불교 신태인교당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41년 11월연표보기 - 원불교 신태인교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구석리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55년 - 원불교 신태인교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구석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신태인리 343-1로 이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9년 11월 22일 - 원불교 신태인교당 교당 신축
주소 변경 이력 원불교 신태인교당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구석리 지도보기
현 소재지 원불교 신태인교당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평화2길 20[신태인리 343-1]지도보기
성격 교당
전화 063-571-2244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신태인리에 있는 원불교 전북교구 소속의 교당.

[개설]

원불교 신태인교당은 교조 소태산(小太山) 대종사가 생존 시에 설립한 교당 중 하나로서 교조 소태산 대종사가 다녀간 교당이다. 신태인역을 중심으로 새롭게 마을이 형성되어 인구가 모여들고 활발한 교역이 이루어지던 시기에 뜻있는 교도들의 정성이 모여서 교당이 설립되었다. 지역 사회에서 신망을 얻고 있던 교도들의 영향으로 교화가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며, 화호교당, 인후교당, 이평교당, 부안교당, 용각교당, 진천교당의 설립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기여하였다.

[설립 목적]

원불교는 1916년 박중빈(朴重彬)이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 총본산을 두고 개창한 불교 계통의 신종교이다. 우주의 근본 원리인 법신불 일원상(法身佛 一圓相)을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삼았으며 정각정행(正覺正行), 지은보은(知恩報恩), 불법활용(佛法活用), 무아봉공(無我奉公)을 강령으로 한다. 원불교의 강령을 기반으로 불교의 현대화, 생활화, 대중화를 주창하여 각자 직업에 종사하며 교화 사업을 하기 위하여 원불교 신태인교당을 설립하였다.

[변천]

원불교 신태인교당은 일찍이 원불교 교조 소태산 대종사의 정법에 귀의한 김기로화, 서순성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김기로화와 서순성이 정읍군 신태인읍[현 정읍시 신태인읍]에 교당을 마련하기 위하여 인연을 찾던 중, 1940년 4월 정의천, 진보권, 이귀도화 등 10여 명의 신도를 확보하게 되었고, 김기로화의 사택을 집회 장소로 하여 총부에서 김영신 외 몇 사람이 교대로 출장 법회를 보아 오다가 1940년 10월 정식으로 출장소 간판을 붙이고 설립되었다.

1941년 11월에 이대교가 순교로 부임하였고 정읍시 신태인읍 구석리에 초가 4간 1동을 매입 수리하여 이전하였다. 1942년 4월 제1대 교무로 정관음행이 부임하였다. 1955년 정읍시 신태인읍 평화2길 20[신태인리 343-1]으로 교당을 옮겼다. 1999년 11월 22일 교당을 신축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원불교 신태인교당은 사회 활동으로 해방 후 해외에서 귀국하는 동포들을 위한 전재 동포 구호 사업에 참여한 것을 시작으로 지역 사회 환경 보호 운동, 독거노인 반찬 나눔, 문화 답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지역 아동 복지에도 뜻을 세워 1992년 정읍시 신태인읍 신태인리에 신태인원광어린이집을 개원하여 지역 아동들의 도학·과학·병진 교육과 부모의 인성 교육에도 이바지하여 왔다.

[현황]

원불교 신태인교당은 2023년 현재 관산 지현관 교무가 근무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