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946 |
---|---|
한자 | 圓佛敎 承富敎堂 |
분야 | 종교/신종교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원승부1길 12[승부리 143-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안기 |
설립 시기/일시 | 1944년![]() |
---|---|
개칭 시기/일시 | 1947년 5월![]() |
이전 시기/일시 | 1948년 - 원불교 승부교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 134로 이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1년 5월 16일 - 원불교 승부교당 교당 신축 |
최초 설립지 | 원불교 승부출장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 |
주소 변경 이력 | 원불교 승부지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 134
![]() |
현 소재지 | 원불교 승부교당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원승부1길 12[승부리 143-1]![]() |
성격 | 교당 |
설립자 | 정사근 |
전화 | 063-535-0485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에 있는 원불교 전북교구 소속 교당.
[설립 목적]
원불교 승부교당은 정사근 교도가 1938년에 대종사의 법문에 귀의하여 공부하던 중 법에 감응하여 이웃 사람들과 함께 공부하였으면 하는 염원에서 설립하였다.
[변천]
원불교 승부교당은 1944년 7월부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의 유정교 교도 사택에 출장소 간판을 붙이고 당시 화해교당 김일현 교무를 초청 출장 법회를 하면서 시작되었다. 유정교 교도의 집에서 출장소를 시작할 수 있었던 것은 유정교 교도의 며느리 덕분이었다. 유정교의 며느리는 당시 화해교당에서 설교를 듣고 입교하였고 그 후 시부모인 유정교, 김신성 교도와 남편인 유형석 교도도 함께 입교하였던 것이다. 이후 승부리에 많은 교도들이 생기게 되었다.
1945년 8·15해방 이후 2년간 휴회하였고, 1947년 다시 화해교당 김창준 교무가 출장 법회를 시작하였다. 1948년 5월 25일 유형석 교도가 정읍시 북면 승부리 134에 있는 논 1,000평[약 3,305.78㎡], 밭 700평[약 2,314.05㎡], 건축 면적 15평[49.59㎡]의 가옥을 희사하여 법당을 마련하게 되었다. 1949년 5월에는 정식 지부로 승격되었고 초대 회장에 유형석 교도가 임명되었다. 1951년 2대 김대심 교무가 부임하고 교당이 날로 발전하여 밭 600평[약 1,983.47㎡]을 구입하게 되었다. 1957년에 5대 교무인 이용진 교무가 부임하여 1958년 3월 태인면에 ’태인출장소’라는 연원 교당을 내었다.
1968년 백미 60가마를 주고 지부를 옮겼으나 협소하여 신축을 추진하였다. 건축 기금을 마련하여 1981년 2월 7일 교당 신축 공사를 시작하여 1981년 5월 16일 봉불 낙성식을 하였다. 창립 유공인은 정사근, 유정교, 유형식, 유인경, 김신성화, 왕선숙, 홍정남화, 김순도화, 김지순 교도 등이며, 창립 당시 교도 수는 22명이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원불교 승부교당은 모든 존재는 서로 의지하고 서로 돕는 은혜의 관계에 있다고 하는 천지은(天地恩)·부모은(父母恩)·동포은(同胞恩)·법률은(法律恩)의 사은(四恩)의 교리에 따라 활동하고 있다. 교무를 중심으로 매주 일요일과 화요일에 법회를 보며 교화 활동을 하고 있다
[현황]
원불교 승부교당은 대종사와 정산 종사가 만난 화해제우지가 있는 화해교당과 3분 거리에 있어 경축 행사를 화해교당과 합동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근거리에 세 개의 작은 교당들이 밀집하여 있어 교무진들은 물론 교도들까지도 어려울 때 서로 도와주고 있으며, 합동 법회를 보기도 한다.
원불교 승부교당은 유씨 집성촌에 있으며, 마을 사람들의 2/3 이상이 교도들이다. 그래서 승부교당 교무는 마을 사람들과 한 식구가 되어 집안의 대소사까지도 의논을 하는 상담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원불교 승부교당은 초대 양혜련 원로 교무를 비롯하여 박종안 교무에 이르기까지 13명의 교무가 봉직, 류향원 교무 등 19명의 교역자를 배출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