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144
한자 揖遠亭
영어공식명칭 EupWunjeong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1길 53-3[태흥리 152-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남해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55년연표보기 - 읍원정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20년 - 읍원정 중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2022년 - 읍원정 해체 보수
현 소재지 읍원정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1길 53-3[태흥리 152-2]지도보기
성격 누정
양식 목조 팔작지붕
정면 칸수 4.5칸
측면 칸수 2칸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에 있는 조선 후기 누정.

[개설]

시사(詩社)는 선비들에게 문학을 권장하기 위하여 만든 조직으로 오늘날의 계(契)와 비슷하다. 선비들은 누정에 모여 음풍농월(吟風弄月)하고 친목을 도모하였다고 한다. 시사는 관(官)에서 조직하였다는 점이 오늘날의 계와 성격이 다르다. 읍원정(揖遠亭)은 조선 후기 시사에 가입한 이들이 모여 문학을 즐기고 친목을 도모한 곳이다.

[위치]

읍원정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1길 53-3[태흥리 152-2]에 있다. 마을 뒤 언덕에 있는데, 언덕 중간쯤에 대원정이 있고 조금 더 올라가면 읍원정이 있다.

[변천]

읍원정은 1855년(철종 6) 태인현감 이승경이 선비들에게 문학을 권장하기 위하여 유림 49인과 함께 시사를 만들며 세운 누정이다. 1920년 정읍 지역의 자선 사업가였던 양재 김재일(金在一)이 사재를 들여 중건하였는데, 중건 자재는 1920년경 태인 관아가 헐릴 때 나온 재목을 활용하였다. 이 외에 송석 김용곤(金湧坤)이 토지 349평[약 1,154㎡]을 희사하였다. 그 후 회원들이 추렴하여 사들인 논 1,200평[약 3,960㎡]에서 나오는 수입으로 읍원정을 유지하였다고 전한다. 2022년 건물 전체를 해체하고 보수하였다.

[형태]

읍원정은 마을 뒤편 언덕을 따라 올라가면 산의 허리 부근에 있는데 대지 중앙에 건물이 있고 우측에는 관련 비석군이 있다. 건물은 정면 4.5칸, 측면 2칸으로 평면은 누마루로 되어 있다. 구조는 1단의 낮은 장대석 기단 위에 자연석 덤벙주초를 놓고 두리기둥을 세운 다음 창방과 결구하고 있다. 내부 가구는 5량집이고 지붕은 겹처마에 팔작지붕 양식이다. 입구에는 읍원정과 관련한 비석으로 시사 회원들의 이름이 새겨진 시사제명비(詩社題名碑)와 시사중결비(詩社重結碑), 현감이후승경 화청선비(縣監李侯承敬和淸善碑), 읍원정 중수기념비가 나란히 세워져 있다. 내부에는 성당(惺堂) 김돈희(金敦熙)가 쓴 ‘읍원정’, ‘호상소유(湖上小游)’ 등의 편액과 주련이 걸려 있다. 시사증결비에는 “1929년 양재 김재일이 사재를 제공하고 김용곤이 토지 349평을 희사하여 읍원정을 다시 중창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현황]

읍원정은 현재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의의와 평가]

읍원정은 관에서 모집한 시사의 일원들이 친목을 도모한 장소로, 건축적인 면에서 태인 관아의 자재를 사용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