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43
한자 詩山
영어공식명칭 Sisa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승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시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시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지도보기
성격
높이 136m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에 있는 산.

[명칭 유래]

시산(詩山)태산군의 백제 시대 이름 대시산군(大尸山郡)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하지만 관련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동국여지지(東國輿地誌)』에 “시산은 현 동쪽 21리[약 8㎞]에 있는데, 옛날 태산 치소 동쪽의 작은 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태인과 임실 경계의 산지에서 서쪽으로 산줄기가 뻗어 시산을 이루는 것으로 묘사된 것을 비롯하여, 『광여도(廣輿圖)』, 『1872년 지방지도』 등에 읍치 동쪽 고현면에 시산이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시산은 중생대 쥐라기 중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에 속하는 복운모 화강암에 해당한다. 복운모 화강암은 화강암보다 흑운모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수분이 풍부한 곳에서는 화학적 풍화와 침식에 약하기 때문에 차별 침식을 받아 저기복 구릉성 산지를 형성한다. 시산 남쪽은 소장봉, 용대봉, 노정봉, 고당산으로 이어진다. 동쪽은 장군봉, 구절재, 왕자산, 성옥산으로 이어진다. 북쪽으로 동진강이 흐르고, 서쪽으로는 칠보천이 흘러 동진강으로 합류한다.

[현황]

시산정읍시 칠보면 시산리에 있는 높이 136m의 산이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35' 51.70", 동경 126° 59' 43.50"이다. 시산무성서원에서 남동쪽으로 보이는 송산마을 뒷산에 해당한다. 1910년 화가 채용신「칠광도」무성리 무성서원과 원촌마을, 동각, 남전마을과 시산, 시산 아래 송산마을이 그려져 있다. 시산에 칠보터널을 뚫어 칠보산로와 태산로가 연결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