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28
한자
영어공식명칭 Mountai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성욱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산지 특성과 수계 형성 현황.

[개설]

정읍시의 동부와 남부 경계 지역은 노령산맥의 일부로 산지 지역을 형성하고, 서부에는 두승산 산지가 있다. 산줄기의 흐름으로는 정읍시의 동남부는 호남정맥에 해당하며, 산줄기는 서쪽 방향으로 다양한 줄기를 형성하여, 동진강, 정읍천, 고부천의 유역을 구분하고 있다.

[정읍시의 산지 특성]

정읍시의 동부와 남부는 노령산맥이 통과하며 경계를 이루고, 북쪽의 국사봉에서 남서쪽의 백암산을 따라서 많은 산이 분포한다. 노령산맥은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 부근에서 소백산맥과 나뉘어 남서쪽으로 이어지는 약 200㎞의 산맥이다. 노령산맥은 진안군과 완주군의 경계, 임실군과 완주군의 경계, 정읍시와 순창군의 경계, 고창군과 전라남도 장성군의 경계를 이루고, 전라남도 영광군으로 이어지면서 정읍시의 동남부 산지를 형성한다.

산줄기의 흐름으로 보면 정읍시의 동남부 지역은 호남정맥에 해당한다. 호남정맥은 진안군 주화산에서 전라남도 광양시 백운산, 국사봉, 망덕산까지 이르는 산줄기이다. 호남정맥은 진안군 주화산에서 금남정맥과 분리되어 남쪽으로 연결되면서, 곰티에서 슬치, 갈미봉, 경각산, 불재, 완주군 구이면 오봉산 그리고 정읍시로 이어진다. 정읍 지역에서 호남정맥의 산줄기는 완주군 오봉산에서 정읍시 묵방산, 성옥산, 왕자산, 구절재, 굴재, 고당산, 개운치, 망대봉, 추령, 유근이재, 장군봉, 연자봉, 내장산, 까치봉, 백암산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까치봉 남쪽 삼거리에서 서쪽으로 산줄기가 분기하여 까치봉, 삼성산, 입암산, 노령, 방장산으로 이어지며 영산기맥을 이룬다.

노령산맥의 일부인 정읍 동남부를 이루는 산줄기는 묵방산에서 까치봉 구간에서는 호남정맥과 일치하지만, 묵방산 북쪽은 국사봉에서 모악산으로 이어지는 모악지맥의 일부를 이루고, 남부에서 까치봉, 삼성산, 입암산, 노령, 방장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는 영산기맥의 일부를 이룬다. 즉, 정읍 지역은 동남부의 호남정맥, 모악지맥, 영산기맥의 산줄기로 나눌 수 있으며, 서쪽 방향으로 낮은 지맥들이 이어진다.

[정읍시의 수계에 의한 산지 분류]

정읍 지역은 동부의 국사봉에서 묵방산, 백암산의 호남정맥을 경계로 동쪽의 섬진강 수계와 서쪽 정읍 지역의 동진강 수계가 구분된다. 남쪽의 백암산에서 방장산의 영남기맥을 경계로 남쪽의 영산강 수계와 북쪽 정읍 지역의 동진강 수계로 크게 구분된다. 그리고 정읍 지역 내부에서는 북쪽의 국사봉에서 명금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와 남쪽의 고당산에서 정토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에 의하여 동쪽의 동진강 수계와 서쪽의 정읍천 수계가 나뉜다. 방장산에서 백산으로 이어지는 두승지맥을 경계로 동쪽은 정읍천 수계, 서쪽은 고부천 수계로 나뉜다.

정읍 지역의 산줄기와 하천 유역의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묵방산 북쪽의 국사봉에서 서쪽 방향으로 이어지는 지맥이 있는데, 상두산, 천아산, 백산, 승방산, 명금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는 김제와 정읍의 경계를 이루며, 산줄기를 기준으로 북쪽은 원평천 수계, 남쪽은 동진강 수계 지역이 된다. 그리고 묵방산 남서쪽의 고당산에서 서북쪽으로 분기되는 지맥은 고당산에서 칠보산, 마태봉, 바둑이산, 덕재산, 정토산으로 이어진다. 산줄기의 동쪽은 동진강 수계이고, 서쪽은 정읍천 수계를 이룬다.

정읍 남쪽에서는 입암산노령을 지나 방장산으로 이어지는 영산기맥에서 북쪽 방향으로 분기하는 산줄기는 방장산에서 옥녀봉, 비룡산, 국사봉, 태봉, 두승산, 천태산, 부안군 백산면 백산으로 이어지는 두승지맥인데, 두승지맥을 경계로 동쪽은 정읍천 수계, 서쪽은 고부천 수계로 나뉜다. 특히 정읍천 유역에는 동쪽의 고당산에서 정토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와 서쪽의 방장산에서 백산으로 이어지는 두승지맥 사이 지역으로, 동쪽에서부터 한교천, 정읍천, 용산천, 천원천, 덕천천 등의 지류가 합류하면서 북쪽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정읍천 수계 내부에서 망해봉, 장군봉, 애산, 초산, 죽지봉의 산줄기는 동쪽의 정읍천과 서쪽의 용산천의 수역을 구분하고 있다. 또한 입암산, 오봉산, 옥녀봉의 산줄기는 동쪽의 용산천과 서쪽의 천원천의 수계를 구분하여 준다. 그리고 칠보산에서 서쪽으로 분기한 성황산, 월명봉, 시루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는 동쪽의 한교천과 서쪽의 정읍천의 분수계가 된다. 또한 두승산에서 동쪽으로 이어지는 동죽산, 망제봉, 시루봉이평면 구릉지로 연결되는데, 동쪽의 정읍천과 서쪽의 덕천천의 분수계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정읍천 유역 내부에서는 4개의 작은 산줄기로 나뉘며, 정읍천의 지류를 형성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