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99
한자 陽槐里
영어공식명칭 Yanggoe-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양괴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영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용북면 양괴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35년 3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용북면 양괴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면 양괴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0년 1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면 양괴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읍 양괴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읍 양괴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 양괴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 양괴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양괴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6.37㎢
가구수 232가구
인구[남/여] 366명[남 180명|여 186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양촌리(陽村里)의 양(陽) 자와 괴동(槐洞)의 괴(槐) 자를 따서 양괴리(陽槐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용산면(龍山面)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대촌리(大村里), 두동(斗洞), 괴동, 양촌리, 장군리(將軍里)와 북촌면 신흥리(新興里), 고부군 답내면 두전리(斗田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용북면 양괴리로 개설되었다. 1935년 3월 1일 용북면이 신태인면으로 개칭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면 양괴리로 개편되었다. 1940년 11월 1일 신태인면이 신태인읍으로 승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읍 양괴리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적인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읍군정주시가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 양괴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양괴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양괴리의 남쪽과 북쪽으로 넓은 들판이 펼쳐져 있다. 동쪽에서 북쪽으로 동진강 도수로 김제간선이 통과하며, 들판 가운데는 우령천이 흘러간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양괴리의 면적은 6.37㎢이며, 인구는 232가구, 366명[남자 180명, 여자 186명]이다. 양괴리는 동쪽으로 연정리, 서쪽으로 신덕리, 남쪽으로 신용리, 북쪽으로는 육리와 접하고 있다.

양괴리는 양괴(陽槐)·대신(大新)·두지(斗池)·괴동(槐洞)·산정(山亭)·산전(山田) 등 6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양괴마을에서는 국도 제30호 건설 과정에서 청동기 원형주거지를 비롯하여 수혈유구, 조선 시대 널무덤 등의 유구들이 확인되었다. 대신마을은 노인정 앞에 효열비 1기와 망부석 모양의 비석이 있다. 효열비는 앞면에 이용천의 부인 인동 장씨, 뒷면에 효자 이희준의 열녀 청주 한씨를 기려 1913년 세워졌다. 두지마을은 도동이라고 하며, 쌀뒤주형이라고 하여 마을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두지마을의 서쪽 구릉지에서 청자편, 회청색 연질토기편, 분청자기편, 백자편 등이 수습되었다.

괴동마을은 유툿골이라고도 하며 마을 앞에는 동진 도수로 김제간선이 통과한다. 괴동마을 동쪽에서 산정천이 흘러 마을 앞에서 화호천과 합류한다. 괴동마을에는 수령 약 300년 정도의 느티나무 당산 그루터기가 남아 있다. 산정마을은 옛날 태인군과 인의현에서 김제로 통하는 중요한 교통로였기 때문에 엄지장, 속칭 명금 5일장이 열렸다. 산전마을은 원래는 태인군 사곡면이었다가 1914년 감곡면 용곽리로, 1987년 1월 1일 신태인읍 양괴리로 편입되었다. 명금경로당 북동쪽 200m 떨어진 곳에 1896년 세워진 안방직 효자정려가 있다. 양괴리의 마을들 사이로 태인으로 이어지는 국도 제30호가 통과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