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150
한자 白雲里
영어공식명칭 Baegun-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백운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고부면 백운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고부면 백운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백운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백운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백운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4.36㎢
가구수 105가구
인구[남/여] 165명[남 81명|여 84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한국 지명 총람』에 따르면, 백운리(白雲里)는 지형이 바구니처럼 생겼으므로 바구니 또는 백운(白雲)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백운리 옆 고창군 성내면 덕산리에는 백갑산이 있고, 백운리 서쪽에 백련사가 있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백운리의 ‘백(白)’ 자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 추정된다.

[형성 및 변천]

조선 후기 고부면 서부면(西部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백운리, 구룡리(九龍里), 용수리(龍水里), 반룡리(盤龍里), 노승리(老僧里), 용출리(龍出里), 초하리(草下里), 서용리(西龍里), 화산리(化山里), 중리(中里), 성포면(聲浦面) 금동리(琴洞里) 및 흥덕군(興德郡) 일동면(一東面) 양협리(良夾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고부면 백운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백운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백운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백운리는 고창군 성내면 도덕리 뒷산인 백갑산에서 뻗어 내린 구릉 지대에 있다. 백운리 북쪽 들판에서 고부천소성천이 합류하여 두물머리를 이룬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백운리의 면적은 4.36㎢이며, 인구는 105가구, 165명[남자 81명, 여자 84명]이다. 백운리고부면의 남서쪽에 있으며, 백운리 일대는 정읍시, 부안군, 고창군의 3개 시군 접경지이다. 동쪽으로 정읍시 소성면 고교리, 서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줄포면 신리, 남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성내면 덕산리, 북쪽으로 강고리와 접하고 있다. 백운리는 백운마을, 운용마을, 반용마을, 죽리마을의 4개 행정리에 걸쳐 있다. 한편 2013년 인구 감소로 인하여 백운리 용수마을이 백운마을에 통합되었다.

백운리는 논과 밭이 넓어 대부분의 농가는 벼농사와 밭농사 외에도 시설하우스 원예 작물과 양돈으로 농가 소득을 올리고 있다. 백운리에는 보건 시설로 백운보건진료소가 있다. 『1872년 지방지도』에는 백운리 일대에 사창(社倉)이 표기되어 있다. 현재는 황토현농협 공판장 창고가 있다. 조선 시대에 백운리강고리 종암마을을 연결하는 다리로 구중교가 있었다. 현재는 구중교 하류에 새로 건립한 종암교가 지방도 제747호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