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138
한자 古阜面
영어공식명칭 Gobu-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전라북도 정읍군 고부면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고부면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으로 개편
성격 법정면
면적 40.03㎢
가구수 1,604가구
인구[남/여] 2,699명[남 1,345명|여 1,354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초기 국가 시대에는 마한의 소국으로 고비리국(古卑離國) 또는 구소국(狗素國)이었으며, 삼국 시대에는 백제의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으로 백제 지방 거점인 오방성(五方城) 중 하나인 중방성(中方城) 또는 중방고사성이 있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 고사부리를 고부(古阜)로 고친 데서 고부면(古阜面)의 이름이 붙여졌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古阜郡) 남부면(南部面)과 서부면(西部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남부면과 서부면을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고부면으로 개설되었다. 당시 관할 법정리는 고부리, 관청리, 남복리, 덕안리, 만화리, 용흥리, 입석리, 강고리, 백운리, 신중리, 신흥리 등 11개 리였다. 이후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영원면에 편입되었던 장문리(長文里)가 1918년 4월 18일 고부면에 편입되었고, 소성면에 편입되었던 만수리(萬壽里)가 1987년 1월 1일 고부면에 편입되어 13개 법정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적인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으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이 되었다.

[자연환경]

고부면의 지형은 전체적으로 동쪽은 높고 서쪽으로 가면서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동쪽은 두승산을 중심으로 산지가 발달하였고 서쪽으로 가면서 구릉지가 펼쳐지며 고부천에 이르러서 높이 10m 이하의 평야가 나타난다. 고부면의 물줄기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며 고부천의 본류는 남쪽 호남정맥의 영향으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완만하게 흐르고 있다. 하천 주변 평야는 고부천의 물줄기가 오랜 세월 동안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면서 만들어졌다. 상류인 백운리에서 강고리, 관청리를 거쳐 신흥리, 용흥리 쪽으로 흘러가는데 고부천 주변 주요 경작지의 높이는 대체로 4~6m 정도여서 2m 정도 차이로 물의 흐름이 완만하다. 고부천 주변이 여름이면 상습적 홍수 피해가 잦은 것도 이러한 지리적 특성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만조 때는 고부천 하류 하장갑문의 수문을 막았을 때 침수 기간이 길어지면서 벼농사 지역은 심각한 피해를 입기도 하였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고부면의 면적은 40.05㎢이며, 인구는 1,607가구, 2,701명[남자 1,345명, 여자 1,356명]이다. 고부면은 정읍시의 서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정읍시 용계동·덕천면, 서쪽으로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보안면·줄포면, 남쪽으로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성내면, 정읍시 소성면, 북쪽으로 정읍시 영원면과 접하고 있다.

법정리는 13개, 행정리는 44개, 반은 82개이며, 법정리로 장문리(長文里), 고부리(古阜里), 남복리(南福里), 입석리(立石里), 덕안리(德安里), 신중리(新中里), 만화리(萬化里), 용흥리(龍興里), 관청리(官淸里), 신흥리(新興里), 강고리(江古里), 백운리(白雲里), 만수리(萬壽里)가 있다. 고부면행정복지센터는 정읍시 고부면 영주로 542-12[고부리 72-1]에 있다.

고부면의 교육 기관으로 고부초등학교고부중학교가 있다. 기관 단체 및 주요 공공 시설로 고부면행정복지센터, 정읍경찰서 고부파출소, 황토현농협 고부본점, 고부우체국, 고부보건지소, 한국농어촌공사 정읍지사 고부출장소, 동학울림센터, 고부종합복지회관, 고부실내게이트볼장이 있다. 산업 단지로 고부농공단지가 있고, 사회복지법인 자애복지재단이 있다.

고부면의 문화유산으로는 지정 문화재로 정읍 고사부리성[사적]이 있고 고부관아터[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고부향교대성전[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군자정[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두승산성[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장문리오층석탑[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용흥리석불입상[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용흥리해정사지석탑[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남복리오층석탑[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남복리미륵암석불[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이 있다. 등록 문화재로 정읍 관청리 근대 한옥[국가등록문화유산]이 있고, 전통 사찰로 유선사가 있다.

고부면의 교통으로는 국도 제29호가 정읍 시내와 연결되어 가장 이용률이 높다. 이 외에도 지방도 제710호가 동서 방향으로 정읍시 고부면에서 부안군 줄포면을 연결하며, 지방도 제747호가 고창군 성내면에서 고부면을 거쳐 부안군 백산면으로 이어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