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157 |
---|---|
한자 | 豊月里 |
영어공식명칭 | Pungwol-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풍월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성욱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풍촌(豊村)의 풍(豊) 자와 월현리(月鉉里)의 월(月) 자를 따서 풍월리(豊月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면 동부면(東部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연지리(蓮地里), 풍촌, 월현리와 서부면(西部面)의 홍원리(洪元里), 덕림리(德林里), 율포리(栗浦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영원면 풍월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영원면 풍월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풍월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풍월리는 중앙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고부천을 경계로 서쪽은 충적 평야 지역, 동쪽은 남동부의 구릉 지대와 평야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원면에서 고부천 유역의 평야 지역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풍월리의 면적은 6.17㎢이며, 인구는 240가구, 401명[남자 206명, 여자 195명]이다. 풍월리는 영원면의 서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은선리, 후지리, 서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주산면 소주리와 동정리, 남쪽으로 신영리, 고부면 용흥리와 신흥리, 북쪽으로 앵성리와 접하고 있다.
풍월리는 고부천을 경계로 동쪽 구릉 지역에 북풍(北豊)마을, 남풍(南豊)마을, 풍양(豊陽)마을, 연지(蓮地)마을, 그리고 서부 평야 지역에 월현(月炫)마을, 월산(月山)마을, 신월(新月)마을, 경산(庚山)마을의 8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북풍마을은 남풍마을과 합쳐 ‘풍촌마을’이라고 불리며, 풍월리의 중심 마을이다. 남풍마을은 북풍마을과 연결되어 있다. 풍양마을은 연지마을의 동쪽, 풍촌마을의 남쪽에 있으며, 남쪽의 신영리와 연결되는 삼거리이다. 연지마을은 ‘연지동’이라고도 하며, 풍수지리상으로 연화도수형(蓮花倒水形)이라고 한다. 마을의 동쪽은 풍양마을, 서쪽은 고부천의 풍월교를 지나 월현마을과 연결된다.
월현마을은 ‘다목촌이라고도 하며 다목촌이라 불리는 것은 일제 강점기 일본인 오오키[多木]에 의한 농지 개간과 관련된다. 동쪽에 고부천이 흐르고 풍월교를 통하여 연지마을과 연결된다. 월산마을은 월현마을 북서쪽의 평지에 있으며 대부분 논농사를 하고 있다. 신월마을은 월현마을의 남쪽에 있으며 지방도 제747호가 통과하고 있다. 경산마을은 부안군 주산면 동정리와 접하고 있으며, 부안군 주산면과 시내버스로 연결된다. 경산마을의 개바위에서는 식수로 이용할 수 있는 석간수가 나온다.
풍월리 월현삼거리에는 풍월보건진료소가 있다. 남북으로 지방도 제747호가 통과하고 있으며, 풍월리의 동쪽으로 국도 제29호가 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