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169
한자 八仙里
영어공식명칭 Palseon-ri
이칭/별칭 팔부동(八富洞),원팔선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팔선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성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이평면 팔선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이평면 팔선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 팔선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 팔선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팔선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0.77㎢
가구수 85가구
인구[남/여] 149명[남 64명|여 85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여덟 명의 신선(神仙)이 살았다 하여 팔선리(八仙里)라 하였다고 한다. 팔선리(八仙里)는 팔부동(八富洞) 또는 원팔선이라고도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 답내면(沓內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팔선리, 석정리(石汀里), 용전리(龍田里), 서산리(書山里), 현동(玄洞), 예동(禮洞)과 수금면(水金面)의 신복리(新福里), 오금면(梧琴面)의 각목리(角木里)와 오신리(梧新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이평면 팔선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 팔선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팔선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팔선리두지리 이평초등학교를 지나 정읍천까지 동북에서 남서 방향으로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남부 구릉지에 마을이 들어서 있고, 북부는 정읍천 연변까지 평야 지대를 이루고 있다. 북쪽에 있는 들을 배들[梨坪]이라 한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팔선리의 면적은 0.77㎢이며, 인구는 85가구, 149명[남자 64명, 여자 85명]이다. 팔선리이평면의 북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정읍천에 면하여 신태인읍 신용리, 서쪽으로 하송리, 두지리, 남쪽으로 오금리, 북쪽으로 하송리와 접하고 있다.

팔선리는 서산(書山)마을, 용전(龍田)마을, 팔부(八富)마을, 석정(石汀)마을의 4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서산마을은 팔선리의 서쪽에 있으며, 1823년 순조(純組) 때에 조선 후기의 학자 권극중의 사우 서산사(書山祠)를 세우고, 원래 지명인 ‘서산(鼠山)’[풍수적으로 늙은 쥐가 밭으로 내려오는 형국]을 ‘서산(書山)’으로 바꾸었다. 현재는 사우인 서산사는 철거되고 유허비만 남아 있다. 용전마을은 원래 마을 이름이 ‘용강(龍江)’이었는데, 도적이 극성을 부려 살기가 어려워 마을 이름을 ‘용전’으로 고쳤다고 한다. 팔부마을은 여덟 사람의 부자가 부유하게 살았다 하여 ‘팔부’라고 불렀다고 한다. 석정마을은 팔선리의 동쪽 정읍천과 가장 가까운 마을인데, 땅 밑에 돌이 많아 땅을 조금만 파도 돌이 나왔다 하여 ‘석정’이라 불렀다고 한다.

팔선리는 석정마을 동쪽으로 광산보(光山洑)가 있었는데, 일명 예동보라 하였다고 한다. 만석보를 쌓기 이전인 1838년 김명이 쌓은 보이다. 신태인이평면을 연결하는 지방도 제736호가 동서 방향으로 통과하고 있으며, 동부 신태인 방향 정읍천에는 만석대교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