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167 |
---|---|
한자 | 梨坪面 |
영어공식명칭 | Ipyeong-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성욱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지역의 평야 이름을 예로부터 ‘배들’이라고 불렀던 것을 한자화하여 이평면(梨坪面)이라 하였다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古阜郡)의 답내면(畓內面)과 궁동면(宮洞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고부군의 답내면과 궁동면을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이평면으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으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이 되었다.
1973년 7월 1일 동쪽에 위치하는 정우면의 오금리를 편입하여 12개리가 되었다가, 1987년 1월 1일에는 도계리를 남쪽의 덕천면으로 편입하고, 청량리의 청량마을을 영원면으로 편입하였다. 현재는 11개리 48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서부의 장내리, 청량리, 창동리 등 3개 지역은 1914년 이전의 궁동면 지역이었으며, 동부와 남부의 두지리, 두전리, 팔선리, 하송리, 마항리, 평령리, 산매리 등 7개 지역은 답내면 지역이었다. 그리고 1973년 7월 1일 편입된 오금리는 1914년 이전에는 오금면 지역이었다.
[자연환경]
이평면은 동쪽에 정읍천이 북쪽으로 흐르고 있으며, 하송리 동부에서 동진강으로 합류한다. 북쪽은 동진강이 서쪽으로 흐르면서 평야 지역인 배들[이평평야]을 형성하고 있다. 이평면은 남부 두승산에서 북쪽으로 뻗은 산줄기를 따라 형성된 두 개의 구릉지에 마을이 들어서 있다. 먼저 동쪽 구릉지에는 평령리, 두지리, 오금리, 팔선리, 마항리, 하송리, 두전리 등이 있고, 서쪽의 구릉에는 산매리, 창동리, 청량리, 장내리 등이 있다. 두 구릉지 사이로 두승 산지에서 시작된 덕천천이 북쪽으로 흐르면서 평야 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이평면의 평야 지역은 두 구릉지 사이의 덕천천 유역[장내리, 창동리, 두지리, 평령리, 산매리], 동쪽의 정읍천 유역[오금리, 팔선리], 북쪽의 동진강 유역[두전리, 하송리, 마항리]에 형성되어 있다. 청량리는 고부천 수계에 속한다. 기반암은 중생대 쥐라기 대보화강암(大寶花崗岩)으로, 토양은 심층 풍화되어 형성된 적황색토이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이평면의 면적은 25.71㎢이며, 인구는 1,273가구, 1,977명[남자 972명, 여자 1,005명]이다. 이평면은 정읍시 중심지의 북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정우면, 서쪽으로 천대산을 경계로 영원면, 남쪽으로 덕천면, 북동쪽으로 동진강을 경계로 신태인읍, 북서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백산면과 접하고 있다. 법정리는 두지리(斗池里), 팔선리(八仙里), 하송리(下松里), 마항리(馬項里), 두전리(斗田里), 장내리(長內里), 청량리(靑良里), 창동리(滄東里), 평령리(平嶺里), 산매리(山梅里), 오금리(梧琴里)의 11개이며, 44개 마을[행정리]이 속하여 있다. 이평면사무소는 정읍시 이평면 황토현로 293[두지리 192-1]에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이평초등학교와 이평중학교가 있다. 논농사 중심의 주곡 농업이 발달하였으며, 남서부의 구릉 지대에서는 과수 재배를 비롯하여 잎담배 재배와 젖소 사육이 이루어진다. 문화유산으로는 만석보지(萬石洑址)[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정읍 전봉준 유적(井邑 全琫準 遺蹟)[사적], 창동서원(滄東書院)[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서산사 유허비(書山祠 遺墟碑), 만석보 혁파 선정비(萬石洑 革罷 善政碑)[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제8호], 전봉준 단비(全琫準 壇碑)[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제12호], 말목장터와감나무[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팔랑정지(八郞亭址), 김기환 효자문(金基煥 孝子門), 오금리 제각(梧琴里 祭閣) 등이 있다. 장내리에는 전봉준의 생가가 보존되어 있으며, 두지리의 말목장터는 태인·고부·정읍으로 통하는 삼거리로 동학농민혁명 때 농민들의 집결지였다.
동서로 지방도 제736호가 동쪽의 신태인읍과 서쪽의 영원면을 연결하고 있으며, 남북으로 지방도 제705호가 북쪽의 부안군 백산면과 남쪽의 덕천면을 연결하고 있다. 지방도 제736호와 지방도 제705호는 두지리에 있는 이평면사무소 앞에서 교차로를 형성하고 있다. 서쪽 끝에는 김제에서 고부를 거쳐 정읍으로 연결되는 국도 제29호가 지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