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192
한자 弓四里
영어공식명칭 Gungsa-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궁사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궁사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궁사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궁사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궁사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궁사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2.79㎢
가구수 108가구
인구[남/여] 158명[남 79명|여 79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지형이 활처럼 생겼다고도 하고, 또는 4개의 제방인 태인천, 용호천, 박산천, 거산천이 활의 등처럼 보인다고도 하여 궁사리(弓四里)라 명칭이 붙여졌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泰仁郡) 흥천면(興天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궁사리, 강삼리(江三里), 외신리(外新里), 외이리(外二里)와 인곡면(仁谷面)의 이암리(耳巖里), 군내면(郡內面)의 원동(元洞), 북촌면(北村面)의 일리(一里), 구사동(舊四洞), 고부군(古阜郡) 벌미면(伐米面) 강신리(江新里) 일부를 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궁사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궁사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궁사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궁사리오봉산이 동쪽에 있고, 낙양리 내이마을과 외이마을 뒷산인 토끼봉이 남쪽에 있으며, 백산(栢山)이 원동마을 북쪽에 있다. 서쪽에는 태인천이 자리한다. 궁사리는 태인천 유역의 평야 지대에 자리하고 있다. 궁사리의 들판은 궁사평야 또는 강삼평야라고 한다. 궁사리는 태인천, 용호천, 박산천, 거산천의 물줄기와 동진강 도수로에 이르기까지 하천이 많다.

[현황]

2023년 5월 31일 현재 궁사리의 면적은 2.79㎢이며, 인구는 108가구, 158명[남자 79명, 여자 79명]이다. 궁사리태인면의 북서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오봉리, 서쪽으로 신태인읍 구석리, 남쪽으로 낙양리, 북쪽으로 박산리, 신태인읍 백산리와 접하고 있다.

궁사리는 원궁사마을, 강삼마을, 원동마을 등 3개의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원궁사마을은 궁멀, 궁말이라고도 한다. 궁은 활, 멀과 말은 마을을 뜻한다. 강삼마을은 태인천, 용호천, 박산천이라는 세 개의 강물이 흐르고 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원동마을은 백산에서 뻗어 내린 구릉을 등지고 평야 지대를 바라보고 있는 마을이다. 강삼마을 앞을 지나 신태인읍으로 하천을 건너가는 다리를 백산교라 하는데, 백산교의 옛 이름은 목천포라 하였다. 신태인읍 백산리에는 두다리목이라는 소지명도 남아 있는데, 바로 기차역과 시장이 발달한 신태인읍을 오고가는 태인면 사람들이 쉬어가던 주막거리였다. 강삼마을에서는 윤상홍, 윤상오, 문선명 등의 동학농민군 지도자가 배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