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79 |
---|---|
한자 | 國道 第二十二號 |
영어공식명칭 | National Expressway No. 22 |
이칭/별칭 | 정읍순천선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대성 |
준공 시기/일시 | 1971년 8월 31일![]() |
---|---|
증설|폐설 시기/일시 | 1981년 3월 14일 - 국도 제22호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법성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로 연장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1년 3월 14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6년![]() |
증설|폐설 시기/일시 | 1997년 - 국도 제22호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일동에서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흥덕면 동사리 구간 확장 개통 |
전구간 | 국도 제22호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전라남도 영광군|함평군|광주광역시 광산구|서구|동구|전라남도 화순군|곡성군|순천시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국도 제22호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농소동|공평동|용계동|소성면![]() |
성격 | 도로 |
길이 | 178.09㎞[총연장]|9.95㎞[정읍시 구간 길이] |
차선 | 8차로|6차로|4차로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에서 소성면을 경유하여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순천을 연결하는 일반국도.
[명칭 유래]
국도 제22호는 도로의 기점과 종점인 정읍과 순천의 지명을 따서 정읍순천선으로 명명되었으며, 도로 번호는 동서 축 노선으로 짝수 번호인 제22호가 부여되었다.
[제원]
국도 제22호의 총연장은 178.09㎞이며, 전 구간 포장도로이다. 왕복 2차로는 77.56㎞, 4차로는 85.19㎞, 6차로는 7.78㎞, 8차로는 7.55㎞이다. 정읍시 구간은 장명동에서 소성면까지 9.95㎞이며, 전 구간 4차로로 정읍 시내를 동서로 관통한다.
[건립 경위]
국도 제22호는 지역 간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호남 지역의 동서 내륙 축 교통망을 확충하기 위하여 신설되었다.
[변천]
국도 제22호는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따라서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법성포에서 순천시를 잇는 국도 제22호 영광순천선을 신설하면서 시작되었다. 1981년 3월 14일 기점을 영광군 법성면 법성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으로 연장하며 정주순천선이 되었다. 1995년 도농 통합시 출범으로 정주시가 정읍시로 변경됨에 따라 1996년 정읍순천선이 되었다. 1997년 7월 22일 정읍시 정일동에서 고창군 흥덕면 동사리 간 도로를 확장 개통하였다. 2015년 3월 27일 시점을 정읍시 수성동 정읍시청 앞 도로원표에서 연지동 연지사거리로 변경하였다.
[현황]
국도 제22호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에서 시작하여, 고창군, 전라남도 영광군·함평군, 광주광역시 광산구·서구·동구, 전라남도 화순군·곡성군을 거쳐 순천시 중앙동까지 이르는 일반국도이다. 그중 정읍시 구간은 연지동, 농소동, 공평동, 용계동, 소성면을 통과한다.
국도 제22호는 정읍 시내를 동서로 관통하여 안으로는 연지동에서 소성면을 연결하고 밖으로는 정읍에서 고창을 연결한다. 특히 전북특별자치도 남부권에서 고속국도 제25호를 연결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2022년 현재 정읍시 소성면 신천리 일대에서 국도 제22호의 하루 평균 교통량은 9,989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