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76
한자 道路
영어공식명칭 Road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대성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사람이나 차가 다니는 비교적 큰 길.

[개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는 고속도로, 일반국도, 지방도, 시도, 군도가 있다. 1970년대부터 건설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로 인하여 인근 부안군, 김제시, 장성군, 순창군 등과의 접근성이 좋아졌다. 1973년 호남고속도로 개통으로 수도권, 충청권, 광주권과의 접근성도 높아졌다. 2021년 현재 정읍에는 고속도로 1개 노선[총연장 34.320㎞], 일반국도 5개 노선[총연장 125.950㎞], 지방도 12개 노선[총연장 165.079㎞, 포장 138.039㎞, 미포장 22.940㎞], 시도 26개 노선[총연장 72.410㎞], 군도 28개 노선[총연장 264.378㎞, 미포장 5.370㎞]을 포함하여 총 72개 노선[총연장 662.137㎞, 포장 612.007㎞, 미포장 28.310㎞]이 있다.

[고속도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는 1개의 고속도로 노선이 지난다. 고속국도 제25호정읍시 입암면에서 감곡면 계룡리까지 34.32㎞를 지나간다. 전주시와 광주광역시를 연결하는 노선의 일부 구간으로 1973년 개통하였다.

[일반국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는 일반국도 5개 노선이 운영 중이며, 총길이는 125.950㎞이다. 국도 제1호입암면 등천리에서 감곡면 계룡리까지 36.8㎞이며, 정읍을 남북으로 통과한다. 국도 제21호정읍시 부전동에서 감곡면 계룡리까지 15.175㎞이며, 송산교차로에서 정읍시 계룡리-금산-전주 구간은 국도 제1호와 노선이 중복된다. 국도 제22호장명동에서 소성면까지 6.55㎞이며, 정읍 시내와 고창을 연결하는 간선도로이다. 국도 제29호장명동에서 영원면까지 23.07㎞이며, 군산-김제에서 정읍, 담양을 연결하는 노선의 일부 구간이다.

[지방도]

정읍시에는 지방도 11개 노선이 운영 중이며, 총길이는 165.079㎞이다.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를 잇는 지방도 제49호는 칠보면에서 산외면까지 22.8㎞ 구간이다. 해남군에서 충청남도 금산군을 잇는 지방도 제55호는 산내면에서 산외면까지 10㎞ 구간이다. 정읍시에서 김제시를 잇는 지방도 제701호는 연지동에서 감곡면까지 22.4㎞ 구간이다. 정읍시에서 부안군을 잇는 지방도 제705호는 연지동에서 이평면까지 13.66㎞ 구간이다.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신림면에서 정읍시 칠보면을 잇는 지방도 제708호는 입암면에서 칠보면까지 29.6㎞ 구간이다.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줄포면에서 고부면 고부리를 잇는 지방도 제710호는 고부면에서 고부면까지 4.92㎞ 구간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쌍치면에서 김제시 금산면을 잇는 지방도 제715호는 산내면에서 산외면까지 20.6㎞ 구간이다. 순창군 금과면에서 정읍시 산내면 장금리를 잇는 지방도 제729호는 산내면에서 산내면까지 3.78㎞ 구간이다. 부안군 진서면에서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를 잇는 지방도 제736호는 영원면에서 감곡면까지 23.89㎞ 구간이다. 고창군 성내면에서 부안군 동진면을 잇는 지방도 제747호는 고부면에서 영원면까지 11.8㎞ 구간이다. 정읍시 산외면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동상면을 잇는 지방도 제749호는 산외면에서 산외면까지 1.6㎞ 구간이다.

[시도, 군도]

정읍시의 지선을 구성하고 있는 시도·군도는 각각 32개, 33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도는 32개 노선이며, 총길이는 72.41㎞이다. 군도는 33개 노선으로 총길이는 264.38㎞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