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82 |
---|---|
한자 | 國道 第二一號 |
영어공식명칭 | National Expressway No. 21 |
이칭/별칭 | 남원이천선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대성 |
준공 시기/일시 | 1971년 8월 31일 - 국도 제21호 군산천안선 신설 |
---|---|
증설|폐설 시기/일시 | 2011년 - 국도 제21호 송산교차로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쌍치 구간 선형 개량 및 4차로 확장 공사 시작 |
증설|폐설 시기/일시 | 2018년 - 국도 제21호 송산교차로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쌍치 구간 선형 개량 및 4차로 확장 공사 완료 |
전구간 | 국도 제21호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순창군|정읍시|김제시|완주군|전주시|익산시|군산시|충청남도 서천군|보령시|홍성군|예산군|아산시|천안시|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경기도 이천시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국도 제21호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부전동|금붕동|상동|구룡동|북면|정우면|태인면|옹동면|감곡면![]() |
성격 | 도로 |
길이 | 348.86㎞[전체 구간]|15.175㎞[정읍 구간] |
차선 | 4차로|2차로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강면에서 정읍시를 거쳐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에 이르는 일반국도.
[명칭 유래]
국도 제21호는 도로의 기점과 종점인 남원과 이천의 지명을 따서 남원이천선으로 명명되었으며, 도로 번호는 남북 축 노선으로 홀수 번호인 제21호가 부여되었다.
[제원]
국도 제21호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서 정읍시를 경유하여 경기도 이천시까지 이르는 총길이 348.86㎞의 일반국도이다. 정읍시 구간은 부전동에서 감곡면 계룡리까지 길이 15.175㎞이며, 2차로 구간은 8.655㎞, 4차로 구간은 6.520㎞이다. 이 중 송산교차로에서 감곡면 계룡리까지 구간은 국도 제1호와 노선을 공유한다.
[건립 경위]
국도 제21호는 1971년 8월 31일 우리나라 서부의 남북 교통망 확충을 위하여 군산천안선으로 신설되었다.
[변천]
국도 제21호는 1971년 군산천안선으로 지정되었으며, 1981년 충청남도 천안에서 종점이 경기도 이천으로 연장되어 군산이천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6년 전라북도 군산에서 기점이 전주로 연장되어 전주이천선이 되었고, 2001년 전주에서 기점이 남원으로 연장되어 남원이천선 형태를 갖추었다.
[현황]
국도 제21호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강면에서 시작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정읍시·김제시·완주군·전주시·익산시·군산시, 충청남도 서천군·보령시·홍성군·예산군·아산시·천안시,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까지 남북 방향으로 연결한다. 그중 정읍 지역은 부전동, 금붕동, 상동, 구룡동, 북면, 정우면, 태인면, 옹동면, 감곡면을 통과한다.
국도 제21호는 국도 제1호와 함께 정읍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송산교차로에서 동쪽으로 이어져 정읍과 순창군 쌍치면을 연결한다. 송산교차로에서 순창군 쌍치 구간은 산악지대로 이루어져 있어 2차로의 구불구불한 도로였으나 2011~2018년 7년간 도로 신설 공사로 선형이 개량되고 4차로로 넓어졌다. 개통 전 하루 2,000여 대에 그치던 교통량이 개통 후에는 하루 4,000여 대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순창군 방면에서 내장산으로의 접근성이 좋아졌다. 국도 제21호 구간에 정읍에서 가장 긴 교량인 백석교가 있다. 2022년 현재 정읍시에서 쌍치면 구간의 하루 교통량은 3,765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