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95 |
---|---|
한자 | 湖南線 |
영어공식명칭 | Honamseon Rail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대성 |
준공 시기/일시 | 1914년 1월 11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5년 11월 15일 - 호남선 익산-정읍 구간 복선화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7년 12월 4일 - 호남선 정읍-장성 구간 복선화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4년 3월 24일 - 호남선 복선 전철화 준공식 |
현 소재지 | 호남선 -
대전조차장역|서대전역|가수원역|흑석리역|계룡역|개태사역|연산역|부황역|논산역|채운역|강경역|용동역|함열역|황등역|익산역|부용역|와룡역|김제역|감곡역|신태인역|정읍역|천원역|노령역|백양사역|안평역|장성역|임곡역|하남역|북송정역|광주송정역|노안역|나주역|다시역|고막원역|함평역|무안역|몽탄역|일로역|임성리역|목포역![]() |
성격 | 도로 |
면적 | 252.5㎞[길이] |
전화 | 1544-7788 |
홈페이지 | https://info.korail.com |
[정의]
대전광역시 대전조차장역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읍역과 신태인역을 거쳐 전라남도 목포역까지 연결하는 철도.
[건립 경위]
호남선(湖南線)은 대전에서 호남평야·나주평야를 연결하여 목포항에 이르는 간선 철도이다. 농산물의 수송 및 철도 주변 일대 개발을 목적으로 부설되었다.
[변천]
1898년 고종은 자체적으로 서울에서 목포에 이르는 일명 ‘경목선’을 부설하려고 하였으나, 수원에서 천안, 대전을 거쳐 영남으로 이어지는 경부선 철도의 부설권이 일본 측에 넘어가 독자적인 간선 철도를 부설하는 데 실패하였다. 이후 일제에 의하여 1911년 10월 착공되어 1914년 1월 11일 호남선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70년대 교통 수요량의 증가로 1978년 3월 30일 서대전에서 익산 간 88.6㎞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1985년에는 익산에서 정읍 간 43.4㎞ 구간이, 1987년에는 정읍에서 장성 간 32.4㎞ 구간이, 1988년에는 장성에서 송정리 간 21.9㎞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2001년 12월 17일 송정리에서 함평, 임성리 간 63.3㎞ 복선 구간을 개통하였다. 2003년 12월 8일 임성리에서 목포 간 지하 5㎞, 지상 2.3㎞의 7.3㎞ 구간 이설 등으로 호남선 전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2004년 3월 24일 고속 열차와 일반 열차가 공동 운행하는 복선 전철화 준공식을 가졌다.
[구성]
호남선은 대전조차장역부터 목포역까지 총길이는 252.5㎞이다. 대전조차장역, 서대전역, 가수원역, 흑석리역, 계룡역, 개태사역, 연산역, 부황역, 논산역, 채운역, 강경역, 용동역, 함열역, 황등역, 익산역, 부용역, 와룡역, 김제역, 감곡역, 신태인역, 정읍역, 천원역, 노령역, 백양사역, 안평역, 장성역, 임곡역, 하남역, 북송정역, 광주송정역, 노안역, 나주역, 다시역, 고막원역, 함평역, 무안역, 몽탄역, 일로역, 임성리역, 목포역 등 총 40개 역으로 구성된 철도 노선이다.
[현황]
호남선은 경부선 대전조차장역에서 정읍역을 거쳐 목포역까지 이어지는 간선 철도이다. 정읍 지역에는 감곡역, 신태인역, 초강역, 정읍역, 천원역, 노령역이 있다. 신태인역과 정읍역은 여객 업무를 수행하며, 감곡역, 천원역은 무배차 간이역으로 열차가 서지 않고, 노령역은 화물 업무만 수행한다. 호남선은 경부선과 더불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간선 철도였으나 호남고속철도가 건설됨에 따라 여객 수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낮아지고 있다. 연간 500만 명이 호남선을 이용하고 있으며, 2021년 현재 일일 기준 주중 8,746명, 주말 1만 1866명이 이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