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98 |
---|---|
한자 | 新泰仁驛 |
영어공식명칭 | Sintaein Stati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정신로 1163[신태인리 132-18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대성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12년 12월![]()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51년 6월 - 신태인역 6·25전쟁으로 역사 소실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56년 11월 - 신태인역 역사 복원 준공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4년 7월 - 신태인역 호남선 복선 공사로 역사 철거 |
준공 시기/일시 | 1985년 11월 - 신태인역 역사 준공 |
현 소재지 | 신태인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정신로 1163[신태인리 132-180]![]() |
성격 | 철도역 |
전화 | 1544-7788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신태인리에 있는 호남선의 철도역.
[개설]
신태인역(新泰仁驛)은 호남선의 철도역이다. 감곡역과 초강역 사이에 있으며, 무궁화호와 ITX-새마을열차가 정차한다.
[건립 경위]
신태인역은 신태인 일대와 주변 평야 지대의 농산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철도와 신태인]
호남선 철도가 건설되기 이전 지역의 중심은 태인이었다. 호남선 철도가 선형상의 문제로 태인을 지나지 못하고 옛 태인현 용북면 삼천리에 철도역을 짓고 ‘신태인역’이라 이름 붙였다. 철도로 인하여 신태인 지역은 급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하여 태인보다 큰 도회지로 성장하였고, 행정 구역 명칭도 1935년 3월 1일 용북면에서 신태인면으로 바뀌었다. 이후 1940년 11월 1일 신태인면은 신태인읍으로 승격하였다.
[변천]
신태인역은 1912년 12월 호남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51년 6월 6·25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어, 1956년 11월 역사를 복원하였다. 1984년 7월 호남선 복선화로 역사가 철거되고, 1985년 11월 역사를 준공하였다.
[구성]
신태인역은 역사와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사에서는 매표 및 안내 업무가 이루어진다. 부대시설로는 매표실, 수유방, 자판기, 화장실 등이 있다. 1번, 2번 승강장이 목포·광주 송정·광주 방면이고, 3번, 4번 승강장이 용산·서대전·익산 방면이다.
[현황]
신태인역은 하루 상행, 하행 각 12회가 정차하며, 무궁화호가 9회, ITX-새마을호가 3회 정차한다. 신태인역을 이용하는 이용객 수는 2022년 현재 연간 승차 인원 4만 296명, 하차 인원 4만 2858명으로 8만 3154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