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97 |
---|---|
한자 | 井邑驛 |
영어공식명칭 | Jeongeup Stati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서부산업도로 305[연지동 343-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대성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12년![]() |
---|---|
개칭 시기/일시 | 1982년![]() |
개칭 시기/일시 | 1995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5년 4월 - 정읍역 호남고속철도 개통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5년 9월 - 정읍역 신역사 준공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6년 - 정읍역 수서고속철도 개통 |
현 소재지 | 정읍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서부산업도로 305[연지동 343-1]![]() |
성격 | 철도역 |
전화 | 1544-7788 |
홈페이지 | https://www.letskorail.com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호남선과 호남고속철도의 철도역.
[개설]
호남선의 개통 이후 정읍시 내에는 감곡역, 신태인역, 초강역, 정읍역, 천원역, 노령역이 운영되었으나, 2023년 현재 신태인역과 정읍역만이 영업하고 있다. 정읍역은 호남선 무궁화호, ITX-새마을, 호남고속철도 KTX, 수서고속철도[SRT]의 역으로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건립 경위]
정읍역이 있는 호남선은 대전에서 호남평야·나주평야를 연결하여 목포항에 이르는 간선 철도이다. 농산물의 수송 및 철도 주변 일대 개발을 목적으로 부설되었다.
[변천]
정읍역은 1912년 12월 1일 호남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65년 7월 역사를 준공하였다., 1981년 7월 1일 정주시와 정읍군을 분리하는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1982년 7월 정주역으로 역명을 개칭하였다. 1985년 12월 역사를 다시 신축하였다. 1995년 1월 1월 정주시와 정읍군이 통합하여 정읍시가 되자 다시 정읍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6월 호남고속철도 운행을 위하여 신역사를 착공하였다. 2015년 4월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고, 2015년 9월 정읍역 신역사도 준공하였다. 2016년부터 수서고속철도가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구성]
정읍역 승강장은 상하행 분리형으로 되어 있다. 1번 승강장과 4번 승강장 사이에 2선의 KTX 통과선이 있으며, 여객 취급에 사용되는 선로 외 화차 취급을 위한 유치선이 있다. 엘리베이터 6대, 에스컬레이터 12대, 장애인 화장실, 일반 화장실, 모유 수유실, 273대의 주차면을 보유하고 있다.
[현황]
정읍역 이용 인원은 2021년 현재 연간 승차 40만 6729명, 하차 41만 5605명으로 82만 2334명, 2022년 현재 연간 승차 52만 1022명, 하차 53만 2301명으로 105만 3323명으로 증가하고 있다. 열차별로는 고속열차, 무궁화, ITX-새마을 순으로 이용객이 많다. 정읍역은 전북특별자치도에서 익산역, 전주역에 이어 세 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철도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