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동의 숨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63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2013년 3월 - 『옹동의 숨결』 편찬 시작
편찬 시기/일시 2016년 7월 - 『옹동의 숨결』 편찬 완료
간행 시기/일시 2016년 7월 15일연표보기 - 『옹동의 숨결』 간행
간행처 옹동면사무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옹지동촌로 208[칠석리 171-14]
성격 향토지|면지
저자 배상정|정승룡|안수용|최영진
간행자 옹동면지편찬위원회
표제 옹동의 숨결

[정의]

2016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에서 간행한 면지.

[개설]

『옹동의 숨결』은 2016년 7월 15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간행한 향토지이다. 옹동면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옹지면과 태인현의 동쪽이라는 의미의 동촌면이 합쳐져 ‘옹동면’이 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옹동의 숨결』은 ‘옹동면’의 명칭 사용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옹동면의 역사와 문화, 면민들의 발자취를 집대성하려고 하였다. 옹동면칠보면태인면의 중간 지점에 있어 유적지와 유물 및 자료 면에서 빈약하지만 어려운 여건을 이겨 내고 3년여의 시간을 투자하여 면지를 발행하였다. 2013년 3월 옹동면지편찬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발간 계획을 세우고, 이후 면민과 각급 기관 단체, 사회단체, 출향 인사 등이 참여하여 집필진과 이장단 및 지역 유지를 중심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이렇게 편찬한 면지를 면민은 물론, 관내 기관과 도서관, 행정 기관, 기타 필요 부처에 보급하여 옹동면의 홍보 자료로 활용하였다.

[서지적 상황]

『옹동의 숨결』은 전북대학교 전주캠퍼스 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정읍시립도서관[정읍시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옹동의 숨결』의 발행처는 옹동면지편찬위원회이고, 발행일은 2016년 7월 15일이며, 비매품으로 배부되고 있다.

[형태]

『옹동의 숨결』의 판형은 가로 20㎝, 세로 26㎝이며, 총 549쪽이다.

[구성/내용]

『옹동의 숨결』의 목차는 제1편 옹동면의 역사 및 자연환경, 제2편 옹동면의 문화, 제3편 옹동면의 자연환경 및 생태, 제4편 옹동면의 교육, 제5편 옹동면의 문학, 제6편 옹동면의 인물, 정려 및 문헌, 제7편 부록, 제8편 사진으로 보는 옹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은 다른 지역의 면지와 비슷한 목차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제1편과 제3편의 자연 지리와 인문 지리의 내용은 비교적 적게 편성되어 있다. 제1편에는 옹동의 역사와 일반 현황 및 유래와 마을 소개가 담겨 있고, 제2편에는 옹동의 민속, 유적, 언어, 전설 및 설화, 종교 유적, 특산물, 옹동의 일상이 담겨 있다. 제3편에는 옹동의 자연환경과 생태가 기술되고, 제4편에는 옹동의 현황과 초등학교가 기술되었으며, 제5편에는 시인과 수필가들이 기술되었다. 제6편에는 인물, 정려 및 문헌이 기술되고, 부록에는 옹동의 선거, 공공 기관, 사회 활동 단체, 기업 및 옹동의 수상자 명단 등이 기술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옹동의 숨결』은 사진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마을과 명승 및 고적뿐 아니라 관련 자료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편리하도록 편집하였다. 역사적 유물과 사건 등이 비교적 적은 지역의 실정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내용의 항목들을 편성하여 면지로서의 체제를 갖추고 있다. 또 마을과 지명의 유래와 관련된 자료로 『호구총수(戶口總數)』나 『1872년 지방지도(一八七二年 地方地圖)』 등을 참고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