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17 |
---|---|
한자 | 瓮東面 |
영어공식명칭 | Ongdong-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허인욱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옹지면(瓮池面)의 옹(瓮) 자와 동촌면(東村面)의 동(東) 자를 따서 옹동면(瓮東面)이라 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옹지면과 동촌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옹지면과 동촌면, 고현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옹동면으로 개설되었다. 옹지면은 현재의 칠석리(七石里)·오성리(五成里)·용호리(龍虎里) 일대였으며, 동촌면은 현재의 매정리(梅井里)·비봉리(飛鳳里)·산성리(山城里)와 칠보면 일부 지역에 해당한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옹동면으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이 되었다.
『호구총수』[1789년]에는 옹지면에 연계촌리(蓮溪村里)·작소리(鵲巢里)·송원리(松院里)·용소동리(龍巢洞里)·저야미리(楮夜味里)·둔기리(屯基里)·영친동리(榮親洞里)·제내리(堤內里)·두립리(斗立里)·석곡리(石谷里)·외능향리(外綾鄕里)·내능향리(內綾鄕里)·호동리(虎洞里)·성덕리(盛德里)·외향리(外菱香里)·내릉향리(內菱香里) 마을이, 동촌면에는 춘망정(春望亭), 대미당(大美堂), 정동(井洞), 척천(尺川), 등덕(登德), 구촌(鳩村), 칠전(麥田), 행정(杏亭), 신흥(新興), 노탄(盧灘), 모촌(慕村), 신덕(新德), 영천(水川), 구암(龜巖), 수약(守約) 마을이 기재되어 있다.
『1872년 지방지도』[태인]에는 옹지면에 용동(龍洞)·영천(靈川)·저삼(楮三)·내칠(內七)·두오(斗五)·석육(石六)·호동(虎洞)·성칠(成七)이, 동촌면에 수약(守約)·두곡(斗谷)·수천(水川)·척천(尺川)·노탄(蘆灘)·내동(內洞)·대의(大義)·구촌(鳩村)이 기재되어 있다.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년]에는 1912년 1월 1일 당시 조선의 도(道)·부(府)·군(郡)·면(面) 및 동(洞)·리(里)의 지명이 나타나 있는데, 옹지면에 일리(一里)·소일리(小一里)·송월리(松月里)·호동(虎洞)·용이리(龍二里)·덕교(德橋)·저삼리(楮三里)·상기(上基)·와룡리(臥龍里)·운천동(雲泉洞)·금삼동(琴上洞)·사리(四里)·시목동(枾木洞)·두오리(斗五里)·석육리(石六里)·성칠리(星七里)·외칠리(外七里)·내칠리(內七里)의 18개 마을이, 동촌면에 매당리(梅堂里)·신성리(新成里)·정동리(井洞里)·백천리(栢川里)·내동리(內洞里)·삼리(三里)·칠전리(漆田里)·행정리(杏亭里)·노탄리(蘆灘里)·두곡리(斗谷里)·수천리(水川里)·후당리(後堂里)·화장동(花庄洞)·구암리(九巖里)·수약동(水約洞)의 15개 마을이 기재되어 있다.
『증보 정읍군지』[1974년]에는 비봉리에 수약동(水約洞)·구암리(九岩里)·수천리(水川里)·후당리(後堂里)·화장동(花庄洞)·두곡리(斗谷里)·노탄리(蘆灘里)[태인군(泰仁郡) 동촌면]·도산리(道山里)[태인군 고현내면(古縣內面)] 각 일부, 산성리에 행정리(杏亭里)·노탄리(蘆灘里)·삼리(三里)·칠전리(七田里)·두곡리(斗谷里)·정곡리(井谷里)[태인군 동촌면]·원촌리(院村里)[태인군 고현내면]·신제리(新題里)[태인군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각 일부, 매정리에 내동리(內東里)·척천리(尺川里)·정동리(井洞里)·매당리(梅堂里)·신성리(新成里)·삼리(三里)[태인군 동촌면]·내칠리(內七里)[태인군 옹지면] 각 일부, 칠석리에 석육리(石六里)·성칠리(星七里)·외칠리(外七里)·시목리(枾木里)·내칠리(內七里)·두오리(斗五里)[태인군 옹지면]·매당리(梅堂里)[태인군 동촌면] 각 일부, 오성리에 금상리(琴上里)·일리(一里)·사리(四里)·두오리(斗五里)·소일리(小一里)·시목리(枾木里)[태인군 옹지면] 각 일부, 용호리에 송월리(松月里)·용이리(龍二里)·호동(虎洞)·소일리(小一里) 일부[태인군 옹지면], 상산리(象山里)에 와룡리(臥龍里)·덕교리(德橋里)·저삼리(楮三里)·상기리(上基里)[태인군 옹지면]·허삼리(虛三里)[태인군 동촌면]가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옹동면은 동쪽에 상두산(象頭山)·비봉산(飛鳳山)이 있다. 옹동면 동쪽은 상두산을 정점으로 하는 호남정맥의 서쪽 사면에 해당하는 높이 400~500m 내외의 산지 지역이다. 옹동면 서쪽은 산지 사이의 대보화강암이 심층 풍화된 분지이며, 용호천(龍虎川) 주변과 산간의 작은 소류지와 소규모 농경지가 있다. 옹동면 남서쪽의 동진강 유역에는 태인으로 이어지는 평야 지대가 펼쳐져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옹동면의 면적은 39.94㎢이며, 인구는 998가구, 1,614명[남자 831명, 여자 783명]이다. 옹동면은 정읍시의 동북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산외면, 서쪽으로 태인면, 남쪽으로 정읍시 칠보면, 북쪽으로 정읍시 감곡면·금산면과 접하고 있다.
면 소재지는 정읍시 옹동면 옹지동촌로 208[칠석리 171-1]에 있으며, 비봉리(飛鳳里)·산성리(山城里)·매정리(梅井里)·칠석리(七石里)·오성리(五成里)·용호리(龍虎里)·상산리(象山里) 등 7개 법정리와 32개 마을, 55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옹동면은 농업이 주산업으로 쌀·콩·고추·담배 등을 생산한다. 특산물로는 상산리 일대에서 생산되는 옹동 숙지황이 유명다. 교통은 전주~정읍, 칠보~신태인 간의 도로가 통과하고 국도 제25호와 연결되어 편리한 편이다. 문화유산으로는 산성리의 토성, 매정리 성터, 모충사[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와 안동 권씨 열녀문, 도강 김씨 효열녀비, 김회련 불망비, 의금부도사김도언유물[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등이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옹동초등학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