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469 |
---|---|
영어공식명칭 | Jeongeup Okcheonsa Jijangsamjonsang and Siwangsang-Ilgwal|Jijangsamjon and All of them Siwangsang, Okcheonsa Temple in Jeongeup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왕림길 94-27[오봉리 60-1]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김미란 |
현 소장처 | 정읍 옥천사 명부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왕림길 94-27[오봉리 60-1]![]() |
---|---|
성격 | 불상 |
재질 | 소조 건칠 |
크기(높이) | 높이 136.5㎝, 무릎 폭 107.5㎝[지장보살상]|전체 높이 166.5㎝, 어깨 폭 51㎝[도명존자상]|전체 높이 181㎝, 어깨 폭 52㎝[무독귀왕상]|높이 155㎝~165㎝, 어깨 폭은 45㎝[시왕상]|높이 55㎝[동자상] |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 옥천사 |
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옥천사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오봉리 옥천사에 있는 근대 지장삼존상과 시왕상 일괄.
[개설]
정읍 옥천사 지장삼존 및 시왕상 일괄(井邑 玉泉寺 地藏三尊 및 十王像 一括)은 옥천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다. 지장삼존은 지장보살 좌상과 협시인 도명존자상 및 무독귀왕상으로서, 근대에 소조로 조성한 후 건칠하였는데 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또한 권속들인 판관상 3구, 사장상 2구, 동자상 10구, 인왕상 2구도 모두 소조 건칠이며, 상태가 좋은 편이다.
[형태]
주존인 지장보살 좌상은 조선 후기의 전통을 그대로 계승하여 조성되었다. 얼굴은 이목구비를 꽉 차게 표현하였으며, 목은 짧게 만들었다. 법의는 통견이며, 군의는 가슴까지 끌어올려 마무리하였다. 왼손 위에는 보주를 들고 있으며, 오른손에는 지물을 쥐고 있다.
[특징]
정읍 옥천사 지장삼존 및 시왕상 일괄은 조선 후기의 전통을 그대로 계승하여 조성한 근대의 지장삼존상 및 권속들의 도상과 형태를 잘 나타내고 있다. 명부전에 봉안된 근대 명부계 존상의 일체를 빠짐없이 갖추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지장보살상은 높이 136.5㎝, 무릎 폭 107.5㎝이며, 도명존자상은 전체 높이 166.5㎝, 어깨 폭 51㎝, 무독귀왕상은 전체 높이 181㎝, 어깨 폭 52㎝이다. 시왕상의 대체적인 높이는 155㎝~165㎝이고 어깨 폭은 45㎝ 정도이다. 동자상의 크기는 높이가 대체로 55㎝ 내외이며, 어깨 폭은 16㎝ 내외이다. 권속들의 의복 색깔은 매우 화려하게 묘사되었다.
[의의와 평가]
정읍 옥천사 지장삼존 및 시왕상 일괄은 근대 지장삼존을 중심에 두는 명부계 존상의 조각 경향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로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