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484
한자 井邑 隱仙里- 道溪里 古墳群
이칭/별칭 무덤,고분,은선리,도계리,삼국 시대,굴식돌방무덤,사적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고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덕천면 도계리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이문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 시기/일시 백제 시대 -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조성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73년 -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고분 10기 실측 조사
문화재 지정 일시 1981년 4월 1일연표보기 -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전라북도 기념물 제57호 지정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8년 8월 -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c-12호분 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6년 11월 -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a-36호, c-20호분 발굴조사
문화재 해지 일시 2018년 4월 26일 -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전라북도 기념물 제57호 해지
문화재 지정 일시 2018년 4월 26일연표보기 -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사적 제543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사적으로 변경 지정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22년 4월 -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일부 권역 시굴 조사
소재지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 지도보기|덕천면 도계리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전주박물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효자동2가 900]
성격 고분
양식 굴식돌방무덤
관리자 정읍시
문화재 지정 번호 사적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덕천면 도계리 일원에 있는 백제 시대 고분.

[개설]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은 고분 대다수가 굴식돌방무덤으로 백제 사비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973년 10기의 고분이 실측 조사를 통하여 보고되었으며, 2008년 산사태로 노출된 c-12호분이 정식으로 발굴 조사되었다. 이후 정밀 지표 조사를 통하여 천태산 일대에 약 270여 기의 고분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2016년 산재하여 있는 고분 중에 a-36호분과 c-20호분이 발굴되었다.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은 1981년 4월 1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57호로 지정되었고, 2018년 4월 26일 전라북도 기념물에서 지정 해제되면서 면적 12만 9163㎡, 약 60여 기가 사적 제543호로 지정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사적으로 변경되었다.

[위치]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덕천면 도계리에 있는 천태산 주변 도처에 분포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73년 지상으로 노출된 10기에 대한 실측 조사가 이루어졌다. 실측 조사 결과 축조 석재의 변화에 따라 고분을 판석형-할석형-판석·할석혼용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2005년 정읍시 영원면 일대를 정밀 지표 조사한 결과 130여 기의 고분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8년 산사태로 노출된 c-12호분 조사 결과 백제 석실분 내부에서 양질의 고려청자가 출토되어 백제 시대에 만들어진 무덤을 고려 시대에 재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2011년 천태산 일원에 대한 정밀 지표 조사 결과 약 270여 기의 고분이 있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2016년에는 2기의 고분이 발굴 조사되어 기존과 달리 일정한 묘역을 지닌 봉분의 형태가 확인됨에 따라 백제 웅진 시기부터 고분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2018년 사적으로 지정된 후, 종합 정비 계획에 의거하여 일부 지역에 대한 시굴 조사 결과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고분이 확인되어 기존에 보고된 고분보다 더 많은 수의 고분이 분포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형태]

고분의 대다수는 판석을 사용한 지상식 구조의 굴식돌방무덤으로 밝혀졌으며, 일부 할석을 사용한 고분도 확인되고 있다.

[출토 유물]

2008년과 2016년 조사에서 백제 시대 관고리, 손칼 조각과 고려 시대의 청자 대접 등이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은 국립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현황]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은 대체로 천태산천태산 남쪽의 금사동산성이 있는 응봉산을 중심으로 정읍시 이평면 산매리, 영원면 운학리·은선리·후지리, 고부면 장문리, 덕천면 도계리 등 여러 행정 구역에 포함되어 총 16개소의 권역에 분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이 분포한 지역은 백제 시대 중방성이 자리한 고사부리군으로, 발굴 조사 결과 옛 고부구읍성이 중방성인 고사부리성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고사부리성의 운영 시기와 맞물려 백제 사비 시기에 집중적으로 조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정읍시 영원면 일대가 백제 말 지방 행정 치소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200여 기가 넘는 백제 시대 고분이 확인되어 부여 염창리 유적과 남원 초촌리고분군에 비견될 수 있는 고분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