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사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08
한자 內藏寺址
영어공식명칭 Naejangsaji/Naejangsaji Archeological site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터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220-74[내장동 576]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김미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660년 - 내장사 창건
폐지 시기/일시 1951년 - 내장사 전소
문화재 지정 일시 1985년 8월 16일연표보기 - 내장사지 전라북도 기념물 제73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내장사지 전라북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내장사지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변경
소재지 내장사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220-74[내장동 576]지도보기
성격 사지
지정 면적 9.851㎡
소유자 내장사
관리자 내장사
문화재 지정 번호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에 있는 삼국 시대 절터.

[개설]

내장사(內藏寺)는 백제 의자왕 때 창건된 것으로 전하는 사찰이다. 현재는 내장사지벽련암이 들어서 있다. 내장사는 백련사로도 불렸으나 조선 후기에는 벽련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현재는 영은사지에 있는 내장사의 산내 암자인 벽련암이 자리하고 있다.

[변천]

내장사지내장산에 있는 옛 내장사 터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백련사는 내장사라고도 이르며 내장산에 있다”라고 하였다. 백련사는 660년(의자왕 20) 선사 유해가 세웠다고 한다. 조선 시대의 명필인 추사 김정희가 ‘백련(白蓮)’을 ‘벽련사(碧蓮寺)’로 바꾸고, 현판을 써서 걸었으나 6·25전쟁 때 소실되었다. 1925년 선사 학명(鶴鳴)이 아미타불을 봉안한 극락보전을 고쳐 짓고, 승려들이 생활하던 요사채와 도량 건물인 선원을 세웠으나 역시 6·25전쟁 때 소실되었다. 이후 승려 향봉과 진공이 복원하여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중창되었다. 벽련암내장사의 산내 암자이지만 주 법당인 대웅전을 비롯하여 천불전 등 여러 채의 당우가 있어 사세가 크다.

[위치]

내장사지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220-74[내장동 576]에 있다. 현재는 벽련암이 있는데, 내장사 일주문 초입에서 오른쪽 산길을 따라 40분 정도 걸으면 나온다.

[현황]

내장사지에는 현재 벽련암이 중창되어 영은사지에 있는 오늘날의 내장사에 버금가는 위용을 자랑하고 있다. 절터에는 연대를 알 수 없는 탑식으로 된 부도가 남아 있으며, 뒷쪽 암벽에 몽련당(夢蓮堂) 김진민(金鎭珉)의 ‘석란정(石蘭亭)’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의의와 평가]

내장사지는 폐사지로 남아 있지 않고 계속적으로 사찰이 운영되면서 명맥을 잇고 있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정읍시사』 (정읍시사편찬위원회, 2003)
  • 『정읍문화재지』 (정읍문화원, 2017)
  • 국가유산청(http://www.khs.go.kr)
  • 정읍시청(https://www.jeongeup.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